 |
|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
|
|
|  | 로마의 신- 전체 |  | |
| 로마의 신들
이제까지 이야기해 온 신들은 로마인들도 받아들이기는 했지만 , 모두 그리스의 신들이다. 그러나 이제부터 이야기하는 신들은 로마 신화의 고유한 신들이다.
사투르누스는 고대 이탈리아인의 신이었다. 이 신은 그리스의 신 크로노스와 동일시되고, 전설에 의하면 아들 쥬피터에 의하여 폐위되자, 이탈리아로 도망하여 세칭 황금시대라고 불리어지고 있는 동안 그곳에서 재위하였다고 한다. 그의 선정을 기념하기 위하여 매년 겨울에 사투르날리아라는 제전이 거행되었는데, 그때에는 모든 공무가 정지되고, 선전 포고나 형벌의 집행도 연기되고 친구들은 서로 선물을 교환하였고, 노예들에게도 자유가 최대한으로 허용되었다.
그들을 위하여 잔치가 벌어지고, 그 석상에서는 주인이 그들의 시중을 들었다. 그것은 사투르누스의 치세에 있어서는 인간이 본래 평등하다는 것과 만물이 만인에게 평등하게 속한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사투르누스의 손자인 파우누스는 들과 목자의 신으로서 숭배되었고, 예언의 신으로서도 숭배를 받았다. 그의 이름의 복수형(複數形)인 파우니는 그리스의 사튀로스와 같이 익살스런 신들의 일단을 의미했다.
또한 파우나 또는 보나디아라고 하는 여신도 있었다.
키리누스는 전쟁의 신이었는데, 이 신은 로마의 창건자이고, 사후(사후)에 신의 지위에 오르게 된 로물루스 자신인 것이다.
벨로나는 전쟁의 여신이다.
테르미누스는 토지 경계의 신이다. 그의 상은 거친 돌이나 기둥으로서 들의 경계를 표시하기 위하여 지상에 세워져 있었다.
팔레스는 가축과 목장을 주재하는 여신이다.
포모나는 과일나무를 관장했다.
플로라는 꽃들의 여신이었다.
루시나는 출산의 여신이었다.
베스타(그리스의 헤스티아)는 국가의 솥과 가정의 솥을 주재하는 여신이었다. 베스타의 신전에선 베스탈이라고 하는 여섯 명의 처녀 제사(제사)가 수호하고 있는 성화(聖火)가 타고 있었다. 로마인 신앙에 의하면 국가의 안녕은 이 성화의 보존과 관계가 있으므로 처녀 제사의 태만 때문에 그것이 꺼지는 일이 있을 때는 그녀들은 엄벌을 받았고, 꺼진 불은 태양광선에 의하여 다시 점화되었다.
리베르는 바쿠스 의 라틴 명(명)이며, 물키베르는 불카누스의 라틴 이름이다.
야누스는 하늘의 문지기로서 새해를 열기 때문에 일년의 최초의 달)은 그의 이름을 따서 붙여져 있다.
그는 문의 수호신이요, 모든 문은 두 방향으로 면해 있으므로, 그는 보통 두 개의 머리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표현되었다. 로마에는 야누스의 신전이 무수히 많았다. 전쟁 때는 주요한 신전의 문은 언제나 열렸고, 평화시는 닫혀 있었다. 그러나 누마와 아우구스투스의 치세 동안에는 문이 오직 한번 닫혔을 뿐이었다.
페나테스는 가족의 행복과 번영을 지켜 주는 신들로 생각되었다. 그들의 이름은 페누스, 즉 식료품을 넣는 찬장이라는 말에서 유래한 것이다. 그리고 찬장이 이 신들의 성소로 되어 있었다. 그러므로 한 가정의 주인은 모두 자기 집의 페나테스의 제사(제사)였다.
라레스, 즉 라르들도 또한 가정을 지키는 신들이었다. 그러나 페나테스와 달리 전자는 사자의 영혼이 신이 되었다고 생각하는 점이다. 가정의 라레스는 자손들을 감독하고 보호하는 영혼으로 생각되었다. 레무레스와 라르바아라는 말은 거의 영어의 고스트라는 말과 부합한다. 로마인들이 믿는 바에 의하면 남자는 누구든지 자기의 수호신 게니우스를, 여자는 자기의 수호신인 유노를 가지고 있었다. 즉, 그 신이 자기들에게 삶을 주었다고 생각했고 평생 자기들의 보호자가 되어 주리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자기들의 생일에는 남자는 자기 게니우스에게 선물을 바쳤고 여자는 자기의 유노에게 선물을 바쳤다.
어떤 이 시대의 시인은 몇몇 로마의 신들에 대해 인유하고 있다:
포모나는 과수원을 사랑하고
리베르는 포도넝쿨울 사랑하며
팔레스는 초가헛간을 사랑하네
암소의 숨결로 포근하여;
비너스는 속삭임을 사랑하네
슬퍼하는 처녀 총각,
사월 상아 달빛 안에,
밤나무 그늘 아래.
(맥컬레이, ˝카피스의 예언.˝)
N.B. - 고유명사에서 마지막 e 나 es 는 소리를 내어야 함에 유의하라. 그래서 Cybele와 Penates는 세음절 단어들이다. 하지만 Proserpine와 Thebes는 예외라서 영어 단어처럼 발음해야한다.
by http://cafe.daum.net/bigmemories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