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
|
|
|  | 국악 기초지식 |  | |
| 장단 ; 국악에서는 성악과 기악에서 다같이 장구로 반주를 한다.
그때 반주는 일정한 리듬을 되풀이하는데, 그것을 장단이라고 한다.
장단은 정악 장단과 민속악 장단으로 크게 나뉜다.
정악 장단 ; 주로 장구로 장단을 치는데, 상영산 장단, 세영산 장단,
도드리 장단이 가장 많이 쓰인다.
민속악 장단 ; 민속악에서도 장구로 장단을 치고, 특히 판소리는 소리
북으로 친다.
민속악 장단
① 진양(가장 느린 장단)
② 중모리(보통 빠르기의 12박)
③ 중중모리(중모리보다 조금 빠른 12박)
④ 자진모리(매우 빠른 12박), 세마치(조금 빠른 3박)
⑤ 휘모리(가장 빠른 장단, 12박 또는 아주 빠를 때는 4박)
⑥ 엇모리(빠른 12박)
⑦ 엇중모리(보통 빠르기의 6박)
⑧ 도드리(보통 빠르기의 6박, 정악에도 쓰인다)
⑨ 타령(조금 빠른 12박)
⑩ 굿거리(조금 빠른 12박, 주로 무용 음악에 쓰인다),
세마치(조금 빠른 3박)
조 ; 국악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조는 평조, 계면조, 우조이다.
평조는 서양 음악의 장조와 비슷하고,
우조는 평조와 큰 차이가 없으나 으뜸음의 음높이가 다르다.
계면조는 서양 음악의 단조와 비슷한데, 시조, 판소리, 남도 민요에
많이 쓰인다.
국악기
1. 그 형태와 연주법에 따라 현악기, 관악기, 타악기로 나뉜다.
[현악기] 가야금, 거문고, 해금, 아쟁, 양금, 금, 슬, 대쟁, 월금,
소공후, 와공후, 향비파, 당비파
[타악기] 편종, 소리북, 편경, 풍물북, 특종, 교방고, 특경, 절고,
방향, 진고, 운라, 도, 징, 노도, 꽹가리, 노고, 박, 뇌도,
부, 뇌고, 바라, 영고, 소고, 영도, 축, 건고, 어, 삭고,
장구, 응고, 좌고, 중고, 용고, 갈고
[관악기] 대금, 소금, 당적, 향피리, 세피리, 당피리, 대피리, 새납
퉁소, 약, 적, 단소, 평조단소, 생황, 나발, 나각, 훈, 지,
소, 중금
2. 악기를 만든 재료에 따라 팔음순(金 石 絲 竹 匏 土 革 木)으로
분류한다.
[금:쇠붙이] 편종, 특종, 양금, 방향, 운라, 징, 꽹가리, 나발
[석:돌] 편경, 특경
[사:명주실] 거문고, 가야금, 금, 슬, 해금, 대쟁, 아쟁, 월금,
당비파, 향비파, 수공후, 와공후, 소공후
[죽:대나무] 향피리, 당피리, 세피리, 대금, 중금, 소금, 당적,
지적, 약, 퉁소, 단소
[포:바가지(박)] 생황
[토:흙] 훈, 부, 나각
[혁:가죽] 장고, 갈고, 좌고, 절고, 교방교, 진고, 용고, 영고,
영도, 노고, 노도, 응고, 뇌고, 뇌도, 소고, 삭고, 건고,
중고
[목:나무] 박, 축, 어, 태평소
by 상대적이고 절대적인 지식의 백과사전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