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
|
|
|  | 함자와 성씨에 관해서 |  | |
| 아버지 함자는…
˝홍길동, 아버님 존함이 어떻게 되시냐?˝
˝예, 선생님. 홍자 길자 덕자이십니다.˝
˝뭐?˝
사람들은 흔히 자신의 부모, 조부모님 함자를 타인에게 말할 때, 위 예문처럼 ˝○자 ○자 ○자이십니다˝라고 말한다. 그러나 이처럼 성(姓) 뒤에도 `자´를 붙여 ˝○자 ○자 ○자이십니다˝라고 하는 표현은 잘못된 것이다. 성(姓) 뒤에는 자를 붙여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이럴 때는 ˝저의 아버지는 홍 길자 덕자이십니다˝ 또는 ˝저의 아버지 함자는 홍 길자 덕자 쓰십니다˝라고 해야 맞다. `홍´이 `성´(姓)이라고 ˝홍성 길자 덕자이십니다˝라고 해서도 안 된다.
자 자는 함자를 높이 부를 때 사용하는데 성씨까지 높인다면 아랫사람과 그 성씨를 사용하는 타인까지 높이게 되기 때문이다.
상대방이 내 성(姓)을 알고 있는 경우는 굳이 성(姓)까지 말할 필요는 없다. 그냥 ˝저의 아버지는 길자 덕자이십니다.˝ 또는 ˝길자 덕자 쓰십니다.˝하면 된다.
하지만 상대방이 내 본관이나 성을 몰라 물어오는 경우도 있겠다. 이 때 `성(姓)가(哥)´라고 해야 할지, `성(姓)씨(氏)´라고 해야 할지 망설인 경험이 있을 것이다. 즉 ˝홍가입니다˝라고 해야 하는지, ˝예, 홍씨입니다˝라고 해야 예의에 맞는지 몰라 헷갈리기 일쑤라는 얘기다.
이처럼 자신의 성을 말해야 할 경우에는 `○가(哥)´, 즉 ˝홍가입니다˝라고 하는 것이 관용적인 표현이다.
*참고
함자(銜字)와 휘자(諱字) : 옛부터 웃어른의 이름자를 말할 때 생존한 분에 대하여는 함자(銜字)라고 하며, 작고한 분에 대하여는 휘자(諱字)라고 한다.
by http://cafe.daum.net/bigmemories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