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
|
|
|  | 선글라스색 진해야 자외선 차단? |  | |
| 색상 아닌 코팅이 차단 좌우
원색 렌즈 시력엔 좋지 않아
햇빛이 강해지면서 선글라스를 착용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햇빛에서 자외선은 백내장 등 안과질환의 원인 가운데 하나다. 선글라스는 색상이 진할수록 자외선을 많이 차단할까
서울대병원 안과 권지원 교수는 “선글라스 색상의 진한 정도와 자외선 차단의 정도는 상관이 없다”며 “색상이 진하면 강한 햇빛을 막는 효과는 있으나, 자외선 차단 코팅이 돼 있어야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다”고 말했다.
선글라스는 특히 자외선의 98% 이상을 차단할 수 있도록 코팅돼 있어야 하며, 단지 색만 진하게 들어간 불량 선글라스를 착용하면 오히려 눈에 해롭다는 것이다. 또 어두운 곳에서 착용하거나 색이 너무 강한 선글라스는 시력을 떨어뜨리거나 색의 구별을 방해하므로 오히려 해로울 수 있다.
선글라스에는 흔히 갈색, 녹색, 노랑, 회색 등의 색상이 사용되는데 색상의 농도는 75%에서 80% 정도로 렌즈 쓴 사람의 눈이 들여다보일 정도가 적합하다.
갈색 계열 렌즈는 단파장의 광선을 흡수·차단하므로 눈병을 앓고 있거나 백내장 수술 뒤 눈을 보호하는 데 적합하며, 청색빛을 잘 여과시켜 시야를 넓고 선명하게 해주므로 운전자들이 사용하기에 적당하다.
녹색 계열 렌즈는 장파장의 광선을 흡수·차단해 눈의 피로를 적게 하며 망막을 보호하는 데 적합하다. 특히 시원한 느낌을 주기 때문에 여름철에 많이 사용하는 색상이다.
회색 계열 렌즈는 빛의 모든 파장을 균일하게 흡수·차단하므로 자연색 그대로 볼 수 있어 야외에서 착용하면 좋다.
권 교수는 “최근 빨강 초록 파랑 분홍 보라 등 화려한 원색 렌즈가 유행이지만 패션 소품으로 쓰기에는 적당할지언정 시력 보호 측면에서는 좋지 않다”고 지적했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