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
|
|
|  | 암흑물질 ˝윔프˝란 무엇인가..? |  | |
| ..
우주에 암흑 물질이 있다는 것은 1970년대 우리 은하 내 별들의 운동을 관측한 결과에서 처음 예측됐다. 당시 천문학자들은 은하 변두리에 있는 별들이 생각보다 훨씬 빨리 돌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별이 빨리 돌면서도 은하에서 벗어나지 않는다는 것은 중심 쪽에서 강한 힘으로 잡아 당기고 있다는 뜻이다. 우주에서는 만유인력이 당기는 힘을 담당한다. 만유인력이 강하다는 것은 안쪽에 그만큼 무거운 물질이 있다는 것인데, 은하 안쪽에 보이는 별과 성운등의 질량을 다 합쳐도, 빨리 도는 바깥쪽 별을 잡아두기 위해 충분한 질량의 5%밖에 되지 않는다. 이 때부터 과학자들은 뭔가 보이지 않는 ˝암흑물질˝ 이 있다고 생각하고 찾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관측되지 않는 블랙홀이나 행성 등이 ˝잃어버린 질량˝ 의 원인일 것이로 생각했다.
그러나 예측 가능한 블랙홀,행성의 질량을 최대한 크게 잡아도 별처럼 빛을 내는 천체들의 질량보다 적었다. 90% 이상의 물질이 뭔가 다른 형태로 존재하는 것이다. 그 뒤 우주 이론이 발달 하면서 ˝윔프˝ 라는 입자가 암흑 물질의 대부분일 것으로 생각하고 찾아 나서게 됐다. 고 등 과학원 안상현 박사는 ˝ 현대 우주론에 따르면 중성자.양성자.전자 등 보통의 물질을 이루는 입자는 대폭발(빅뱅)뒤 3분 안에 생겼으며 그 최대량은 제한이 있다˝고 말한다. 그런데 이 최대량은 우주의 팽창속도로부터 계산한 우주물질 총질량의 10% 정도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윔프처럼 보통 물질과는 관계 없는 특수 입자가 잔뜩 있어야만 한다는 결론이 나온다. 윔프는 원자핵을 이루는 양성자보다 1백배쯤 무거우며, 우주공간에는 사방 10cm의 정육면체 안에 열개쯤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by http://cafe.daum.net/astronomical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