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
|
|
|  | 소수림왕 |  | |
|
소수림왕은 소해주류왕 혹은 해미류왕이라고도 한다. 이름은 구부이다. 제16대 고국원왕의 아들로 355년(고국원왕 25) 태자로 책봉되었고 371년 부왕의 전사에 따라 17대 왕으로 즉위하였다.
소수림왕은 고구려 사회의 동요를 극복하기 위한 일련의 체제정비를 단행하였다. 즉 372년(소수림왕 2년)에는 전진에서 온 승려 순도를, 374년(소수림왕 4년)에는 아도를 통해 불교를 수용하였고, 375년(소수림왕 5년)에는 성문사와 이불란사를 창건하여 이들을 거주하게 하였다.
한편 372년(소수림왕 2년)에는 유교교육기관인 태학을 설립하여 유교이념의 확대와 인재의 양성에 주력하였다. 뿐만 아니라 373년(소수림왕 3년)에는 국가의 기본법인 율령을 반포하였다.
이는 전통적인 관습법을 대신하여 성문법인 율령을 바탕으로 하여 중앙집권적인 국가체제의 확립에 기여하였다. 대외적으로는 374년(소수림왕 4년),375년(소수림왕 5년),376년(소수림왕 6년)에 잇따라 백제를 공격하는 등 전대에 이어 백제와 공방전을 계속하였다. 378년(소수림왕 8년)에는 거란족의 침략을 받기도 하였다. 그러나 전연이 멸망한 뒤 북중국의 강자로 등장한 전진과 372년(소수림왕 2년)과 377년(소수림왕 7년)에 외교사절을 교환하고 불교를 수용하는 등 우호관계를
by http://fori.new21.net/history/main.htm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