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
|
|
|  | 하륜(河崙, 1347∼1416) |  | |
| ▶ 고려말·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진주, 호는 호정(浩亭), 자는 대림(大臨),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1365년(공민왕 14년) 문과에 급제하여, 감찰규정(監察糾正)이 되고 고공좌랑(考功佐郞)에 올랐다. 밀직사첨서사(密直司簽書事)를 지냈는데, 1388년(우왕 14년) 최영(崔瑩)의 요동 공격을 반대하다가 양주(楊州)로 귀양가기도 하였다.
▶ 조선 개국 후인 1393년(태조 2년) 경기도관찰사가 되면서 한양(漢陽) 천도를 주장하여 관철시켰고, 이듬해 중추원첨서사(中樞院簽書事)가 되었는데, 중국 명나라 태조가 표전문(表箋文)이 불손하다고 트집잡자, 1396년 한성부윤으로 계품사(計稟使)가 되어 명나라에 가서 표전문 작성의 전말을 해명하였다. 1398년 충청도관찰사로 제1차 왕자의 난 때 방원(芳遠)을 도와 공을 세워, 정당문학(政堂文學)으로 승진하고, 정사공신(定社功臣) 1등과 진산군(晉山君)에 봉해졌다. 1400년(정종 2년) 제2차 왕자의 난 때에도 방원을 도왔고, 그 해 명나라 태조의 국상에 진위 겸 진향사(陳慰兼進香使)로 가서 정종의 왕위 계승을 승인 받고 귀국하였다. 문하부참찬사에 오르고 다시 의흥삼군부판사(義興三軍府判事)를 거쳐 우정승, 진산백(晉山伯)에 진봉되었다.
▶ 그 해 태종이 즉위하자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고, 이듬해 관직에서 물러났다가 좌정승(左政丞)으로 복귀하면서 승추부판사를 겸하였다. 또 그 해 명나라 영락제(永樂帝)의 등극사(登極使)로 가서 조선왕조의 완전 인준을 표하는 고명인장(誥命印章)을 받아왔으며, 이첨(李詹)과 함께 『동국사략(東國史略)』을 편수하였다. 409년 의정부영사가 되어 군정(軍政)을 개정한 데 이어 춘추관영사로 『태조실록(太祖實錄)』편찬을 지휘하고, 1412년 다시 좌의정을 거쳐, 1416년(태종 16) 70세로 치사(致仕, 벼슬에서 물러남)하였다. 진산부원군에 진봉되어 왕명으로 함길도(咸吉道, 지금의 함경도)에 있는 선왕(先王)의 능침(陵寢)을 순심(巡審)하고 돌아오는 길에 죽었다. 문집에 『호정집』이 있으며, 태종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http://www.coreaking.com/4sub/humindex.htm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