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글 나누기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정도전(鄭道傳)(1327-1405)
정도전은 이성계보다 두 살 아래로, 1337년 경북 영주에서 정운경의 아들로 태어났다. 정운경이 이색의 아버지 이곡과 친구였으므로 이색에게서 글을 배울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정몽주, 이숭인 등과 학문적 교류가 가능하였다. 그러나 그의 어머니가 서얼 출신의 노비였다는 사실은 그로 하여금 역성혁명을 꿈꾸게 한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던 것 같다.

▶ 24세가 되던 1360년(공민왕 9년)에 과거에 급제하였고, 그 후 성균관 박사로 있으면서 동갑인 정몽주와 매일 명륜당에서 유학을 강론하였다. 1375년(우왕 1년) 이인임 등의 친원파와 맞서다가 유배를 당하였고, 유배가 끝난 뒤에는 한양에서 칩거생활을 하며 후학을 가르쳤다. 1383년 이성계를 만난 후, 그의 인생은 전환점을 맞게 된다. 1388년, 위화도 회군 이후, 이성계가 정권을 장악하여 마침내 조선을 건국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 건국 이후, 『조선경국전』,『불씨잡변』 등을 저술하여 정치, 경제, 사회의 다방면에 걸친 개혁을 이루어냈다. 그러나 정도전의 영향력 확대와 방석의 세자 책봉에 불만을 품은 이방원은 급기야 사병을 동원하여 그를 제거하기에 이른다. 그는 자신을 한(漢)나라의 장량에 비유할 정도로 자신의 공적과 역량을 자부하였다. 왕자들의 권력다툼 이후, 그에 대한 평가가 조선왕조에서 의도적으로 인색하였던 것은 어찌보면 당연한 것이었다. 유교사상을 바탕으로 재상을 중심으로 하는 왕도정치를 실현하고자 했던 정도전은 조선의 건국과 그 기틀을 다지는 데에 가장 큰 이바지를 했던 인물로 기억될 것이다.


http://www.coreaking.com/4sub/humindex.htm
 
비즈폼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1588-8443. 오전9:30~12:30, 오후13:30~17:30 전화상담예약 원격지원요청
전화전 클릭
클린사이트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