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글 나누기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축농증 치료법
☞ 치료

축농증의 원인이 코 안으로 통하는 부비동의 입구가 좁아져 있어 부비동이 잘 환기가 되지 못하여 고름이 고여서 생기는 것이므로 축농증의 치료는 부비동의 입구를 적절한 방법으로 치료하여 넓혀주는 것입니다.

1.약물치료

약물을 써서 점막이 부어 올라 있는 것을 줄여주어 부비동의 입구를 넓혀 주는 방법으로, 이렇게 하여 부비동내의 고름이 자연적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축농증이 낫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항생제, 소염제, 거담제, 항히스타민제를 주로 사용하며 점막수축제, 스테로이드제제 등을 추가하여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축농증의 약물요법은 3-4주 이상 충분히 사용하여야 하며, 치료에 듣지 않을 때에는 약물을 바꿔가며 투여하여야 합니다.
장기적인 사용이 필요한만큼 꼭 주치의하 상의하에 사용해야 합니다.

또한 코에 알레르기가 있을 경우에는 먼저 축농증을 치료한 후에 알레르기에 대한 치료를 하여 축농증이 재발되는 것을 막아주어야 합니다.

2.수술치료

코 안에 부비동의 입구를 막고 있는 구조적인 이상이 있을 경우 이를 제거하거나 교정해주는 방법이 필요합니다.

비중격이 휘어 있어 부비동의 입구를 막거나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여 축농증이 생긴 경우에는 비중격 수술을 하여 휘어진 비중격을 교정하여 줍니다.
또 반복적인 염증으로 코안의 점막이 부어 올라 부비동의 입구를 막고 공기의 흐름을 막는 비후성 비염에는 레이저 점막수술을 하면 공기의 흐름이 개선되고, 반복적
인 염증이 줄어들어 축농증이 좋아지게 됩니다.
소아의 경우 코 뒤의 아데노이드가 커지거나 편도선이 커져 있어 코로 호흡이 안되거나, 염증을 유발시킬 경우에는 편도선과 아데노이드를 절제해주면 축농증이 좋아
지게 됩니다.

위의 방법으로 개선되지 않거나, 부비동 안의 염증이 심할 때에는 수술로 치료하여야 하는데, 콧속으로 내시경을 집어넣고 내시경을 통하여 코와 부비동의 염증부위를 절제하는 내시경수술이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내시경수술은 전신마취하에 하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 코 안에 마취약을 뿌리고 주사하여 코만 마취하여 하게 되며, 과거의 방법보다 출혈이 적고 정확한 수술을 할
수 있어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축농증은 일반적으로 잘 낫지 않고 수술하더라도 재발한다고 생각하여 치료하지 않고 지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축농증이 심해지면 염증이 귀나 목으로 파급되어 중이염이나 만성 기관지염 등을 일으킬 뿐 아니라 눈이나 뇌쪽으로 파급되면 보다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증상이 있으면 꼭 병원에 방문하여 주치의와 상담하고 치료하셔야 합니다.

by http://user.chollian.net/~jazzy67
 
비즈폼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1588-8443. 오전9:30~12:30, 오후13:30~17:30 전화상담예약 원격지원요청
전화전 클릭
클린사이트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