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글 나누기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최 충 ( 984 - 1068 )
고려의 문신. 사학 12도의 하나인 문헌공도의 창시자. 호는 성재, 월포, 방회재.
1005년 문과에 급제하여 우습유에 올랐고, 1013년 거란의 침입으로 소실된 역대
의 문적을 재편수하는 국사 수찬관을 겸하여 ´7대 실록´을 편찬하는데 참여하
였다. 정조 초에는 지공거가 되어 과거를 주관하였으며, ´현종 실록´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문종이 즉위하자 문하시중이 되어, 법률관들에게 법률을 가르쳐
고려 형법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관직에서 물러난 뒤에는 인재 양성에 힘썼는
데, 그의 사숙 구재 학당이 그 예이다.


말년의 최충은 자기 집 사랑방에 젊은이들을 모아 놓고 공부를 가르쳤 다.
그리고 자기 재산을 털어 새 집을 짓고 방을 여러 개 만들어 학교 모양을
갖추었는데, 최충이 이 때 세운 학교가 우리 나라 역사상 최초로 설립된 사
립학교였다. 세상 사람들은 최충이 세운 이 학교에 교실이 9 개가 있다하
여 9 재학당이라고 불렀다. 최충은 고려에 최초로 사립학교를 세웠을 뿐만
아니라 유교를 깊이 연구하여 발전시켰다. 최충에 의하여 비로소 유학의
전통이 세워졌다. 고려사에 수록된 최충전을 보면 다음과 같이 씌어져 있다.
´ 동방에 학교가 세워지게 된 것은 최충에 의해서 비롯되었다. 따라서 그를
해동공자라고 일컬었다.´
해동공자란 발해의 동쪽에 있는 우리 나라 사람으로써 공자에 비유할 만한
사람이라는 뜻이다.

 
비즈폼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1588-8443. 오전9:30~12:30, 오후13:30~17:30 전화상담예약 원격지원요청
전화전 클릭
클린사이트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