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글 나누기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운동을 할 땐 짜게 먹자
주 말이면 등산을 가거나 운동을 즐기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산에 자주 다니는 사람들은 ´물을 많이 마시면 땀이 많이 난다´며 물을 마시지 못하게 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운동이나 등산으로 땀이 날 때마다 물을 마시면 땀이 더 난다는 생각 때문이다.
설사할 때도 물이나 음식을 먹으면 설사가 더 심해진다고 하는 사람도 있다. 운동할 때 물을 마시지 않는 것이 땀을 적게 흘리고 피로를 줄일 수 있는 좋은 방법이라고 조언하는 사람도 적지 않다.

그러나 이런 말을 과학적으로 근거가 없는 틀린 예기이다. 설사가 심할수록, 그리고 땀이 많이 날수록 손실된 수분을 공급하려면 물을 더 많이 마셔야 한다. 물론 이때 물을 마시지 않으면 설사가 멎고 땀을 나지 않는다. 그러나 설사나 땀이 날 때 수분공급을 중단하면 탈수증상을 일으켜 위험한 결과를 초래하기 십상이다.

설사를 하면 의사들은 대개 링겔주사를 놓는다. 이것을 바로 부족한 수분을 공급하는 기본적인 조치이다. 땀이 많이 나고 설사가 심할 때 수분을 제대로 공급하지 않으면 탈수증이 일어나 혈액이 줄어들고 수분과 염분이 부족해져 돌이킬 수 없는 상황을 맞게 될 수 있다. 그렇다고 언제나 염분을 많이 섭취하고 음식을 짜게 먹을 필요는 없다. 최근 세계보건기구의 조사에 따르면 하루에 5~7g의 소금만 섭취하면 건강하게 살 수 있다고 한다.

소금기가 많은 짠 음식을 먹으면 혈관이 수축하고 굳어져서 동맥경화증을 유발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뇌동맥이 터져 뇌출혈이나 뇌졸증 등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사람들은 조금 싱겁게 먹는 식습관을 들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땀을 많이 흘리고 운동을 격렬하게 할 때는 물과 염분의 공급량을 늘려주어야 한다. 군대에서도 한여름에 행군을 할 때에는 탈수증을 막기 위해 식염을 특별히 조제한 염분 손실 방지용 정제를 병사들에게 먹이고 있는 것도 같은 이유다.

기온이 높고 더운 날씨에 테니스나 등산을 할 때 염분섭취가 부족하면 열경련(熱痙攣)같은 병은 일으키기 쉽다. 이런 증상이 나타나면 머리를 식히고 물과 소금을 충분히 줘야 한다. 이 원리에 입각해 만든 것이 바로 스포츠 음료이다. 스포츠 음료란 쉽게 말해서 0.9%의 소금물이다.

요컨대 평소에는 조금 싱겁게 먹고 겨울철에는 염분섭취를 줄여야 하지만 더운 날씨에 땀을 많이 흘리거나 격렬한 운동을 할 때에는 물이 많이 마시고 반찬도 짜게 먹고 수박이나 토마토도 소금에 찍어먹는 것이 오히려 건강에 이롭다.



자료제공 : LG의료보험조합

 
비즈폼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1588-8443. 오전9:30~12:30, 오후13:30~17:30 전화상담예약 원격지원요청
전화전 클릭
클린사이트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