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글 나누기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컴플렉소노믹스
complexonomics(complexity + economics), 복잡성 경제학 정도로 번역해도 될까? 이책이 다루는 핵심주제인 ´복잡계´는 복잡성과 그것이 생태계에 작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복잡성에 관한 연구는 물리학의 영역이며 이것이 생물학의 영역인 생태계 개념과 접목된 학제적 개념이기 때문에 일종의 통합과학인 셈이다. 그것이 자연과학의 영역을 넘어 경제학과 경영학 등 사회과학의 영역에 까지 확산된 것이니 그야말로 본질적 의미에서의 학제적 연구이고 통합과학인 셈이다. 그러니 이른바 신과학이라고나 할까?

복잡계라는 말 이제는 흔히들 인용되고 있지만 결코 간단치는 않은 듯 싶다. 한 3년전 박사과정 수업에서 접한 이래 잊고 살던 단어인데. 그래서 결코 쉽지 않으리라 생각하면서 선택한 책이지만 제목에 쓴 것처럼 ´단순계´의 반대말로 이해하면 우선 쉽게 이해될 듯 싶다. 내가 이 책을 읽을 때 우리 딸이 무슨 내용이냐고 묻길래 복잡계에 관한 내용이라고 했더니 재차 물어본 말이다. ´복잡계? 단순계의 반대말이야?´. 그렇다. 복잡계란 단순계의 반대말이다. 초등학교 3학년 우리 애도 이해할 수 있는 말이다.

우리는 알게 모르게 그동안 단순계를 배워왔다. 가설과 전제조건에 얽매여 그것을 검증하고 일반이론을 세우고 다시 그 일반이론에 입각하여 세계의 현상을 이해하려는 환원주의가 지배했다는 말이다. 그러나 20세기까지의 과학이 우주와 인간에 대한 완전한 정보와 이해가 자연과학이든 사회과학이든 화두였다면 21세기는 그렇지 않은 지극히 당연한 불확실성이 지배원리가 되는 학문이 등장한다. 저자들이 말하는 것처럼 뉴턴적 세계관, 열역학의 운동법칙과 선형성이 사회과학을 지배해오던 것에 대한 자기반성이 자연과학의 복잡한 개념을 사회과학에 도입하기 시작한 것이아닐까?

물리학과 생물학의 통합이론으로서 복잡계이론은 시스템이론, 카오스이론을 거쳐 복잡계이론으로 발달해온 것 같다. 이러한 이론들이 도입되기 전의 사회과학이론들은 (자연과학도 마찬가지지만) 선형성과 확실성에 기초했는데 시스템이론은 이중에서 선형성을 비선형성으로 확대시켜 시스템의 개념들, 시스템과 하위 시스템들의 체계, 투입-변환-산출 과정을 연구했고, 카오스이론은 여기에 불확실성과 불완전성, 즉 혼돈개념을 추가시켰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복잡계이론은 생물학에서의 생태계 개념을 통해 자연과 사회의 모든 시스템이 안정된 체계와 무질서(혼돈)의 상태, 그리고 혼돈의 가장자리라는 경계로 이뤄짐을 보여준다.

이러한 세가지 상태로된 지극히 자연스런 생태계 모델은 넓게는 우주로부터 아주 좁게는 원자이하의 세계, 인간의 세포말단 조직, 그리고 모든 국가 사회 시스템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책의 시사점은 이러한 복잡계 현상이 기업경영에 있어서 어떻게 발현하는가, 그리고 경영자는 이를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가 하는 문제다. 혼돈의 가장자리에서 창조적 발상이 나타난다. 그래서 이 경계를 창조적 적응지대라고 부르기도 한다. 안정된 질서의 상황이 아니라 무질서를 인정하는데서 기업의 생산성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명령과 통제로 제도화된 관료적인 기업시스템이 아니라 변화가능성과 불확실성을 전제로 신뢰와 자발적인 인간관계를 발전시켜 나갈 때 기업이나 그 구성원인 인간의 성장 발전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그러한 이유때문에 그동안 경영학에서 수없이 나타났던 새로운 트렌드 경영개념들, 즉 팀제든, 연봉제든 성과관리제든, 목표관리제든, 변화관리든, 6시그마이론이든, 심지어는 복잡계를 전제로 하는 시스템관리론이나카오스이론까지도 특별한 성과없이 하나의 유행적 조류로서 지나간 것은 아닐까?

이제 복잡성이 날로 커지는 세계 속에서 과거의 선형성과 확실성을 전제로 하는 단순계 개념으로 경영을 할 수 없다는 점에서 복잡계가 요구하는 인간관계를 통해 불확실성(혼돈)의 가장자리에서 새로운 질서를 창발시키려는 노력이 요구된다는 것이 이 책의 교훈일 것 같다. 이러한 관점은 복잡계 개념이 적용되고 있는 경제학의 또다른 네트워크 이론과도 상통하는 것이기도 하다.


by www.aladdin.co.kr
 
비즈폼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1588-8443. 오전9:30~12:30, 오후13:30~17:30 전화상담예약 원격지원요청
전화전 클릭
클린사이트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