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
|
|
|  | 버스 안에서 |  | |
| 붐비는 출근시간 아침, 버스를 탔다. 집에서 회사까지의 거리는 버스로 약 40여 분이 소요되는 다소 먼
거리다. 행여나 길이라도 막히면 2시간 가까이 걸리기도 한다.
모두 5분 10분이 급한 출근 버스…. 버스 기사도 그 마음을 아는지 과감하게 운행을 하고 있었다.
그렇게 얼마나 지났을까. 어느 정류장에서 나이 지긋한 할머니가 오르셨다. 무릎이 불편한지, 매우 힘들
게 오르시더니 한 정거장만 가면 되는데 무임승차를 할 수 없겠느냐며 사정을 했다. 버스 기사는 짜증 섞
인 목소리로 그럴 순 없다면서 빨리 내리라고 화를 냈다.
모두들 출근이 바쁜지 어서 빨리 버스가 출발하기를 기다리는 눈치였다. 적어도 이 버스 안에서는 할머니
가 모두에게 피해를 주는 가해자인 셈이었다. 버스 기사는 이런 분위기를 눈치챈 듯 더욱 강경하게 할머
니에게 내리라고 소리치고 있었고 사람들은 주시하고만 있었다.
이때 어느 착하게 생긴 남자 대학생이 자리에서 일어서더니 운전석 쪽으로 뚜벅뚜벅 걸어갔다. 버스 안
의 모든 사람들은 그를 주목했고 할머니 역시 그를 보고 있었다. 그 학생은 지갑에서 1만 원짜리 지폐를
꺼내 버스 요금통에 넣고는 말했다. ˝할머니 그냥 타세요.˝
그리곤 버스 기사에게 큰 소리로 말했다. ˝제가 지금 1만원을 넣었으니 이제부터 이런 할머니들 타시면
태워주세요.˝
버스 기사를 포함한 어느 누구도 더 이상 아무 소리도 하지 않았다. 다만 각자 생각에 잠겨 있는 듯했다.
물론 버스회사의 규칙상 무임승차는 안 되므로 버스 기사의 행동은 원칙적으로는 옳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그 할머니가 한 정거장을 무임으로 승차했다고 해도 아무도 그 버스 기사가 잘못했다고 하지 않
을 것이다. 아직까지 이 사회는 정이 더 통하는 사회임이 분명하므로--
오늘 아침 자가용으로 출근하면서 어느 할머니께서 버스를 기다리고 계신 것을 보았다. 그때 그 청년은
지금도 그때의 용감한 젊음으로 정의롭게 살아가고 있을지 궁금해진다.
리더스다이제스트/박정홍, 부산시 금정구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