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글 나누기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한국 인터넷 현장 리포트
필자가 평상시 생각해왔던 한국 인터넷 역사의 연대별 구분은 아래와 같다.
- 1990년대 이전 : 특정한 의미를 두기에는 활동이나 효과가 미약했던 시기
- 1990년대 초반 : 태동기
- 1995~96년 : 도입기 (계몽운동기)
- 1997~99년 : 실험기 (자생모델태동 및 해외모델수입기)
- 1999~00년 : 확산1기 (대중확산기)
- 2000~01년 : 확산2기 (경쟁심화기)
- 2001년 이후 : 확산3기

이 책은 1999년 12월부터 약 20개월간을 한국 인터넷의 ´확산1기´ 즉 ´초반기´로 규정하고 그 시기 인터넷업계에 일어난 사건과 변화들을 기록하고 있다. 크게 엔터테인먼트, 커머스, 온 앤 오프로 나눠서 구성했는데, 대부분의 구성은 해당 분야에 대한 컬럼과 주요 쟁점사항, 해당 주제 관련 사이트 소개, 관련업계 실무자나 대표자 인터뷰, 최근 그 분야의 이슈사항에 대한 글로 각 장 마다 일정한 형식을 가지고 시대를 살필 수 있는 내용과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확산1기´는 대중화의 시기였기 때문에 주요 내용은 직접 네티즌들이 접할 수 있었던 서비스들과 사회활동영역에 집중됐다. 이를테면, 게임·웹캐스팅·넷뮤직·스포츠·쇼핑·이메일·커뮤니티·인터넷매거진 등이고, 그들의 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던 새로운 직업군의 출현과 각종 자격증 및 직업 구하기 등에 대한 내용까지 담겨 있다.

각 시대에 있었던 크고 작은 사건들이 짧막짧막하게 등장하기도 하고, 그 분야의 실무자들의 생생하고 다양한 인터뷰들이 실려있어 사실감과 현장의 생동감을 전해주기에 충분하다. 현재의 인터넷 발전상을 연구할 미래의 사람들에게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사료로서의 역할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가지 아쉬운 점은 잡지 기사 모음의 무크지 같은 형태를 가져가다보니 필자들의 주관적인 감상이 지나치게 많이 섞여 있어 ´역사기록의 객관성´을 침해하는 측면이 있다는 점이다. 아울러 상황 설명적인 삽화의 제공보다는 일목요연한 계통도나 흐름도 혹은 역사적인 의미를 가진 연대표를 알기 쉽게 표현하는 시도가 있었더라면, 현장 리포트 뿐만 아니라 ´기록´으로서의 가치도 한층 높일 수 있었으리라 생각된다.

전반적으로 심마니라이프誌의 축소정리판을 보는 느낌이고, 어느 정도 그와 같은 목적을 추구했다고 볼 수 있겠으나, 추후에도 계속 개정판으로 역사의 기록이라는 의미를 부여하고자 한다면, 부족한 사실정리와 기록이라는 관점에서 객관성있게 기사(記寫)하는 모습을 보여주어야할 것이다.

인터넷 업계에 새롭게 입문하거나 다른 분야에서 이쪽 업계의 최근 모습에 대한 전반적인 상황과 전개 배경에 대해서 좀 더 생생한 정보를 원한다면, 이 책의 인터뷰들과 이슈 사항들에서 필요한 정보들을 많이 얻을 수 있다.

또한 한국 인터넷 역사를 처음부터 집필할 계획을 가지고 있는지 여부와 누가 그 일을 맡아야할 지에 대한 문제제기와 제안도 자연스럽게 이루어져야 하는 시점이라고 생각되며, 빠르게 흥망성쇠를 거듭하는 인터넷 업계의 특수성을 반영한다면 하루빨리 이러한 사회·문화적인 대변화에 대한 시행착오의 교훈을 기록으로 남기는 일이 활성화되어야 한다고 본다.


by리브로
 
비즈폼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1588-8443. 오전9:30~12:30, 오후13:30~17:30 전화상담예약 원격지원요청
전화전 클릭
클린사이트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