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   
          |  |  |  |   | | |  |  | 신데렐라콤플렉스 |  |  |  | 
 |  | 여성운동의 기폭제가 되었으며 이미 고전이 된 콜레트 다울링(Colette Dowling)의 유명한 저서 ´신데렐라 콤플렉스´는 여전히 오늘 우리 시대를 향해서도 그 도전적인 메시지를 생생하게 전하고 있다. ´신데렐라 콤플렉스´는 전문 심리학 서적은 아니지만 여성들의 내면세계를 아주 정밀하게 분석하였으며, 단지 분석으로 끝나지 않고 새로운 방향과 프락시스(Praxis)를 제시한 역동적인 책이라고 할 수 있다. 저자 다울링은 주로 자신의 인생 경험, 그리고 여러 여성들의 삶들을 자료화하여 일반적으로 여성들이 지니고 있는 ´신데렐라 콤플렉스´라 불려질 수 있는 특성에 대하여 문제를 제기하는 형식으로 자신의 책을 구성하고 있기에 여성들의 삶에 매우 실제적인 적용점을 던져주고 있다. 특히 다울링은 이 책을 통하여 여성의 독립적 지위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진 지금에도 외적으로는 남성에게 의존하는 것을 부끄러워하면서도 정작 스스로의 자립을 두려워하는 이러한 여성들의 이중성으로 인해 여성들은 더 발전적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고 하면서 여성의 인권신장을 논하기 앞서 이러한 내적인 의존성이 먼저 해결되어야 한다는 것을 강력하게 역설하고 있다. 즉 다울링의 책은 여성들에게 ´홀로서기´에 대한 당위성과 비전을 제시하는 책이며, 고착화된 의존성을 용기있게 탈피하게 될 때에 맞딱드리게 될 현실을 보여주는 동시에 그러나 그 결과로 얻게 될 희망, 그리고 그 자유를 향한 도약의 길로 여성들을 초청하는 책이라고 할 수 있다. 단, 깊이 판단해보야할 것이 있는데 그것은 다울링이 제시한 의존성 탈피 방안, 즉 ´자유에로의 도약´에 관한 것이다. 그녀가 실존주의 작가였던 ´시몬느 드 보봐르´를 인용한 것과 그녀의 주장 역시 보봐르의 주장과 동일한 것을 볼 때 다울링은 분명 샤르트르가 보여주었던 실존주의적인 해결책을 제시한 것임에 틀림없다. 실존주의는 주지하다시피 사실주의적이고 객관주의적이기 보다는 다소 감정주의적이고 주관주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실존주의적 해결책은 그 해결책의 객관적 존재 여부보다는 개인의 결정과 결단의 유의미성을 강조해왔다. 즉 문제해결을 위해 사용하는 방식은 보통 비약적이였던 것이다. 그리하여 다울링역시 ´자유에로의 도약´을 강조하면서 비약적인 결단과 자기확신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자기확신 역시 어떤 문제해결의 객관적인 토대에 근거하지 않는 뜬 구름잡는 식이 될 수 있다. 그래서 언제나 실존주의적 결론은 냉철함이 결여된 다분히 감정적인 면에 머무는 경향이 많다. 이 책을 계속해서 읽어보면 그러한 실존주의의 약점을 다시한번 발견하게 된다. 즉 여성이 처해진 상황에 대한 이해와 분석 그리고 문제제기는 매우 탁월하지만 역시 결론에서는 치밀하고 세부적이지 못한채 여성들에게 감정적이고도 실존적인 결단을 제시하는 단순한 결론에 이르게 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 책은 특히 여성들에게 의존성이라는 문제를 분석하고 통찰할 수 있는 명확한 시각을 제시해주었다는 점에서, 그리고 미래를 향해 나아가는 새로운 도전정신을 불러 일으켰다는 점에서 크게 유익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by 영풍문고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