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
|
|
|  | 평생을 두고 잊지 않겠다고... |  | |
| 초기의 한국 교회에서 성전 건축을 할 때의 일입니다. 어려운 시절에 십시일반 모아서 성전을 짓고 있는
데 채 짓기도 전에 잔고는 바닥이 나고, 더 이상 대출을 받을만한 형편도 되지 않았다고 합니다. 미국에
서 거액의 돈이 왔던 것은 그 무렵이었습니다. 교회를 계속 지어야할지 말아야할지 장로님들과 제직회
가 모여서 공방을 벌이며 기도의 소리를 높이고 있을 때 한 집사님이 뛰어오면서 소리쳤던 것입니다.
“돈이 들어왔답니다. 미국에서 몇 만 불이 통장으로 들어왔답니다.”
하나님이 보내신 돈이라고 환호성을 지르며 교회는 금세 축제분위기가 되었습니다. 교회 건축은 일사천
리로 진행되었습니다. 넉넉하게 들어온 돈 탓에 처음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근사한 예배당이 되었습니
다. 등은 일반 전등에서 할로겐 등으로 바뀌었고, 시멘트 위에 페인트만 발라놓으려 했던 벽은 따스해 보
이는 벽지와 넉넉해 보이는 천으로 바뀌었습니다. 분명 그 돈은 미국의 한 부자가 재산의 일부를 떼어 헌
금했을 거라는 소문이 돌았습니다. 신실한 사람이 아니더라도 사회봉사차원에서 돈을 보낼 수도 있다는
말도 떠돌았습니다. 돈을 받은 후 그들은 이름 없는 그 독지가를 위해 잠깐 기도를 했습니다. 교회는 아
름다워져갔고, 사람들의 마음은 붕 떠올랐습니다. 미국의 부자(?)가 보내온 돈은 남김없이 사용되었고,
과하다 싶을 정도로 예배당은 고급 자재로 넘쳐났습니다.
입당 예배를 하던 날은 아예 잔치 마냥 온 성도가 덩실덩실 춤을 추기까지 했습니다. 모든 것이 하나님
의 은혜라고 목사님은 생각했습니다. 그날 오후, 목사님 방으로 들어오는 장로님의 얼굴이 어두웠습니
다. 입당예배를 성황리에 끝난 뒤라 장로님의 어두운 얼굴이 마음에 걸렸는지 목사님이 물었습니다.
“장로님, 무슨 일이 있으십니까? 얼굴이 좋지 않습니다.”
장로님은 한참 뜸을 들이더니 말씀하셨습니다.
“그돈, 우리에게 보내온 그 돈의 출처를 알았습니다.”
목사님은 독지가를 찾았나 보다 하는 생각을 했습니다. 장로님의 어두운 얼굴을 보며 혹시 돈이 잘못 들
어온 것은 아닌지, 부정하게 모은 돈은 아닌지 잠시 걱정스러웠습니다.
“하나님이 보내주신 그 돈 말입니까?”
목사님의 말에 장로님은 고개를 푹 숙이시더니 한참 동안 말씀이 없으셨습니다. 그러더니,
“그 돈은 그냥 사업가가가 보낸 것이 아니었습니다. 어느 조그만 교회의 성도가 보낸 것이었습니다.”
장로님은 천천히 말을 이었습니다. 미국의 한 가난한 성도에 대한 이야기였습니다. 평생을 하나님 믿으
면서도 가난 때문에 교회에 늘 빚진 마음으로 살아왔던 그 성도는 한국의 어느 교회가 돈이 없어 성전 건
축을 중단했다는 소식을 들은 후 몇날 며칠을 고민했다고 합니다. 모은 돈이라고 해봐야 겨우 입에 풀칠
할 정도고, 거리가 멀어 노동력도 제공해 주지 못하는 처지에 뭔가 하나님께 드리고 싶었던 그가 내린 결
론은 자기의 몸을 드리는 것이었습니다.
“자신의 한 쪽 눈을 팔았답니다. 그걸 팔아서 우리 교회에 보낸 거랍니다. 하나님의 집을 지으라고 말입
니다. 그 귀한 돈을 우리는 폼나는 전등이며, 육중한 강대상이며, 색깔 좋은 커튼에 다 써버렸습니다.”
두 사람은 한 동안 아무 말도 할 수 없었습니다.
“참으로 부끄러운 일이군요. 우리는 모든 걸 너무 가볍게 여겼습니다. 하나님의 큰 은혜도, 성도의 뜨거
운 열정도 말입니다. 우리가 지어야 할 것은 예배당 건물이 아니라 우리 마음의 성전이었습니다.”
목사님과 장로님은 평생을 두고 이 일을 잊지 않겠노라고 결심했습니다.
한국 교회 초기에 실제로 있었던 일이랍니다.
[낮은울타리에서]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