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글 나누기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도깨비를 속여 먹은 김서방 `
옛날 어느 마을에 김 서방이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매우 가난하게 살고 있었습니다. 김 서방은 농사지을 땅이 없어서 동네 사람들의 농사일을 도와 주며 겨우 먹고 살았습니다.
하루는 김 서방이 장을 보려고 집을 나와 읍내 쪽으로 걸어가고 있었습니다. 다리를 건너고 있는데 다리 밑에서 패랭이(대를 쪼개 가늘게 깍은 댓개비를 엮어 만든 갓)을 쓴 낯선 사람이 나와서 말을 걸었습니다.
˝김서방, 지금 어디 가는 길이야?˝
˝장 보러 가는 길이네.˝
김 서방은 처음 보는 사람이 어떻게 자기 성씨까지 알고 있는지 이상했지만 인상이 나쁘지 않아서 친절하게 대답했습니다. 그러자 그 사람은
˝장에 가는 길에 내 물건도 사 줄 수 없을까.˝
하고 부탁했습니다.
˝무엇을 사다 주면 될까.˝
김 서방이 묻자 그 사람은 고기를 사다 달라고 했습니다. 김 서방은 그렇게 하겠다고 대답하고 장 쪽으로 계속 걸어갔습니다.
장에서 볼일을 마친 김 서방은 아까 낯선 사람에게 부탁 받은 것을 생각하고는 고기를 샀습니다.
김 서방은 돌아오는 길에 다리 위에서 그 사람을 불렀습니다. 그러자 패랭이를 쓴 사람이 다리 밑에서 나와 고기를 사가지고 왔느냐고 물었습니다. 김 서방은 장에서 산 고기를 건네 주었습니다.
그 사람은 매우 고맙다고 말하고는 친구로 사귀자고 했습니다. 김 서방은 친구가 별로 없었기 때문에 기쁜 마음으로 승낙했습니다.
하루는 그 친구가 자기는 메밀묵을 가장 좋아한다면서, 메밀묵을 해 주면 김 서방이 좋아하는 것을 많이 갖다 주겠다고 했습니다. 그 말을 듣고 김 서방은 메밀묵을 만들어 주겠다고 약속했습니다.
김 서방은 가난했기 때문에 며칠 뒤에야 메밀을 겨우 구해 친구에게 메밀묵을 해다 줄 수 있었습니다. 친구는 메밀묵을 맛있게 먹은 뒤 김 서방에게 물었습니다.
˝김 서방, 자네는 뭘 제일 좋아하는가?˝
˝나는 돈이 제일 좋다네.˝
그러자 친구는 돈을 한 보따리 꺼내 김 서방한테 주었습니다. 그러면서 메밀묵을 더 갖다 주면 또 돈을 주겠다고 했습니다.
그 뒤부터 김 서방은 종종 친구에게 메밀묵을 갖다 주었습니다. 그때마다 친구는 김 서방에게 돈을 주었습니다. 얼마 안 가서 김 서방은 동네에서 큰 부자가 되었고, 땅도 많이 사서 농사도 많이 짓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김 서방은 부자가 되자 친구에게 메밀묵을 해다주는 일이 싫증났습니다. 그래서 하루는 친구에게 서로 무서운 것이 무엇인지 물어 보자고 했습니다. 친구는
˝나는 이 세상에서 말의 피와 머리가 제일 무서워. 아휴, 생각만 해도 무서워. 그러는 김 서방은 무엇이 무서워?˝
˝나는 돈이 제일 무서워. 아휴, 생각만 해도 무서워.˝
그러자 친구는
˝그럼 돈을 주면 안 되겠네.˝
라고 말했습니다.
김 서방은 황급히
˝그렇지만 나는 무서운 것을 잘 이겨 내는 방법을 알고 있지.˝
하고 얼렁뚱땅 말했습니다.
김 서방은 친구가 무엇을 무서워하는지를 알고는 보통 사람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고기와 메밀묵을 좋아하고 말의 피와 머리를 무서워하는 것을 보니 도깨비가 틀림없다고 생각했지요.
그래서 김 서방은 집에 남아 있는 돈으로 몽땅 땅을 샀습니다. 도깨비는 돈을 모래나 낙엽으로 변화시키는 조화를 부릴 줄 알기 때문이지요. 하지만 땅은 도깨비도 어쩔 수 없을 것이라 생각한 거지요. 그리고 나서 자기 집 담에다가 말의 피를 뿌려 놓고, 대문에는 말 머리를 높이 걸어 놓았습니다.
김 서방이 다시는 찾아오지 않자 도깨비는 궁금증이 일었습니다. 그래서 김 서방 집에 가 보기로 했습니다. 그런데 이게 왠일입니까. 김 서방 집 담에는 자기가 무서워하는 말의 피가 뿌려져 있고 대문에는 말 머리가 높이 걸려 있는 게 아니겠어요.
도깨비는 화가 났습니다. 그래서 김 서방의 집 안에다가 돈을 뿌려 댔습니다.
˝내가 제일 무서워하는 것을 해 놓다니 괘씸하구나. 그러면 너도 무서운 돈을 받아라.˝
그런데 김 서방의 집 안에서는 계속 웃는 소리만 났습니다. 그제야 도깨비는 김 서방한테 속은 줄 알았습니다.
더욱 화가 난 도깨비는 김 서방이 농사를 지을 수 없게 논에 자갈을 잔뜩 쌓아서 자갈산을 만들어 놓았습니다. 김 서방이 자기 논에 와 보니 온통 자갈이라 걱정이 되었습니다. 농사를 못 짓게 될까 봐 말이지요.
김 서방은 곰곰이 생각하다가 좋은 꾀를 내었습니다. 그리고 찡그렸던 얼굴을 활짝 편 뒤 웃음 소리를 내면서 도깨비가 들을 수 있도록 크게 말했습니다.
˝푸하하하, 올해 우리 집 농사는 아주 잘 될 거야. 누가 이렇게 거름으로 가장 좋은 자갈들을 잔뜩 갖다 놓았을까. 만약에 쇠똥이나 말똥을 갖다 놓으면 벼들이 다 죽게 될 텐데.˝
그 말을 들은 도깨비는 ˝아차, 내가 잘못 생각했구나.˝ 하고 중얼거렸습니다. 그래서 그 날 밤 내내 김 서방의 논에 있던 자갈을 모두 치우고 쇠똥과 말똥으로 가득 채워 놓았답니다. 김 서방네 논이 어떻게 되었을까요? 당연히 김 서방네 논은 벼들이 잘 자라서 더욱 부자가 되었답니다.

<끝>


도서 출판 산하에서 나온 <깨비 깨비 참도깨비>를 읽어 보셨나요?
우리가 알고 있는 머리에 뿔이 난 도깨비는 일본 도깨비 ´오니´ 랍니다.
우리나라 도깨비는 몸집이 크고 털이 많고 누린내가 날 뿐 사람하고
거의 똑같이 생겼답니다.
우리 어릴 때 도깨비얘기 참 많이 듣고 자랐는데 요즘 아이들은 도깨비하면 머리에 뿔 달린 일본 도깨비만 떠올리겠더라구요.
그래서 우리나라 도깨비와 일본 도깨비의 다른 점을 이야기 해준 뒤
도깨비 이야기를 생각 나는데로 해주었더니 참 재미있어 했어요.
입말로 하니 꼭 책과 똑같이 할 필요도 없고
그저 떠오르는데로 해주면 되었어요.

여름이어서 서점에도 공포특급이니 괴담 같은 만화책이 많이 있어요.
그저 원한에 사무쳐 복수만 하려는 귀신 이야기보단
어리숙하면서도 착한 사람을 도와주는 도깨비이야기를 아이들에게
많이 들려주어야 겠어요
 
비즈폼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1588-8443. 오전9:30~12:30, 오후13:30~17:30 전화상담예약 원격지원요청
전화전 클릭
클린사이트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