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글 나누기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금서세상을바꾼책
어떤 이들은 ‘역사는 현재의 눈으로 보는 과거’라고 이야기를 한다. 하지만, 어떤 이들은 ‘역사는 과거의 눈 즉 당대의 관점에서 인식해야 한다’라고 이야기를 하기도 한다. 역사를 인식하는 것에 있어 더 바람직한 방법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유사 이래 현재까지 많은 사람들에 제법 그럴싸한 논쟁 ‘꺼리’를 제공하고 있다. 한상범 교수의 [금서, 세상을 바꾼 책]은 ‘역사는 현재의 눈으로 보는 과거’라는 전제를 그 근간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저자는 ‘금서’라는 역사적 사실들을 통해 기형적 체제를 지니고 있는 현재의 상황을 재인식, 재확인 하고자 한다. 저자는 ‘금서 제도’ 가 있는 나라를 “예외 없이 억압 사회, 사회적 모순을 지닌 사회이며 문화의 건실한 발전이 뒤처진 기형적 체제를 유지하고 있음이 분명하다”라 규정하고 있다. 그는 ‘금서 제도가 있는 그 기형적이고 모순적인 사회의 모습’을 통해 근․현대 한국사회를 비판하고 있는 것이다. 저자에게 있어 ‘금서’는 “당시 사회의 기성 권위와 부조리에 대한 도전”의 한 형태이다. 이 책 [금서]에서 등장하는 인물들은 저자에게는 예외 없이 “당시 사회의 기성 권위와 부조리에 대한 도전”을 시도하였던 선지자이며 순교자이다. 따라서, 그들의 ‘피로 쓴’ 저작들은 ‘금서’라는 낙인이 찍혔지만 궁극적으로는 “인간 정신의 존엄과 자유를 지켜내기 위해 투쟁한 위대한 선지자들의 정신”이 되는 것 이다. 마키아벨리가 그러했으며 그로티우스가 그러했던 것이다. 하여간, 이 책은 고대 프로타고라스부터 근대 마르크스 까지 거의 모든 금서의 목록들이 에피소드와 함께 일별되어 있다. [금서]에 등장하는 서적들 가운데 다수가 ‘근대 서양 철학사상’을 다루고 있어, 일반 독자들에게는 제법 어려운 소재와 내용임에도 불구하고 저자의 필력으로 쉽게 풀어 쓰고 있다. 분명한 것은 이 책을 읽다보면 어느 사이에 ‘근대 서양 철학’에 나름대로의 일가견을 가지고 있는 자신을 발견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좋은 책이었다. 하지만, “쓰인 모든 것 중에서 나는 오로지 저자의 피로 쓴 것만을 애호한다. 피로 써라” 라는 말이 귓가에 멤도는 이유는...? ^^*



by 영풍문고
 
비즈폼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1588-8443. 오전9:30~12:30, 오후13:30~17:30 전화상담예약 원격지원요청
전화전 클릭
클린사이트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