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글 나누기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거스히딩크열정으로승부하라
단순한 히딩크 어록 모음이나 신문 기사 모음이 아니라, 경제경영 전문가 3인(공병호, 윤태익, 김기홍)이 쓴 글답게 날카로운 분석과 신선한 해석, 든든한 비전 제시가 있다. 소신과 인사, 경쟁, 대화 등의 리더십은 무수한 언론에서도 다루었던 내용들이다. 그러나 공병호는 무엇보다도 법치에 근거한 계약문화를 눈여겨보라고 한다. 히딩크가 자신의 소신을 굽히지 않을 수 있었던 배경, 축구협회의 전폭적인 지지 등 모든 것이 명시화 된 계약의 힘이라는 것이다. 나도 오너와 연봉 계약을 한다. 그러나 생각해보니 연봉 계약서에 써있는 조항들이 무엇 무엇이 있는지 잘 모르겠다. 내게 주어진 임무와 권한, 책임의 범위에 대해 명확한 조항이 없었던 것 같다. 우리 회사가, 사회가, 국가가 발전하고 책임 경영을 하기 위해서도 이러한 계약문화가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정말 좋은 지적이다. 또한 공병호는 오피스 폴리스틱을 제거하라고 한다. 어떠한 조직이든 내부의 정치세력이 도사리고 있기 마련이다. 히딩크가 대표팀을 접수하는 과정에 대한 설명을 듣자니 내가 다니고 있는 회사의 주류와 비주류, 그리고 새로 부임한 상사 생각이 났다. 이 밖에도 CEO의 조직 경영이나 조직원의 자기 경영 등 배울 점이 가득하다. 윤태익은 의식이라는 관점에서 히딩크 현상을 분석했다. 우선 9가지 유형의 리더십 스타일에 대한 설명을 했다. 히딩크는 성취의 리더 성향이 짙은 인물이란다. 효율과 생산성 향상의 대가로 성취 자체를 인생의 목표로 삼는 성공주의자이다. 소수 정예의 능력 있는 멤버로 철통같은 팀워크를 이루며 단기간 내에 ‘쌈박’하게 승부 짓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라는 것이다. 대표적인 나라로 미국과 네덜란드가 있다. 그러나 ‘자신의 성취한 일과 이미지=자신의 존재가치’이기 때문에 의식수준이 떨어지면 과시욕으로 이어지기도 하며, 이미지를 너무 중요시하다보면 속마음을 잘 이야기하지 않아 오해를 사기도 한다는 지적은 신선한 충격이었다. 대한민국은 도전의 리더 성향이 있단다. 결단력이 뛰어나고 자신의 의지를 강력하게 어필, 어려운 상황에 도전한다는 것이다. 어쩌면 월드컵 4강 신화의 원동력이 바로 이런 히딩크의 효율성과 대한민국의 도전성이 이뤄낸 것일 게다. 여러 나라의 국민성을 예로 들며 9가지 유형의 리더십 스타이렝 대한 설명을 했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의식 수준이 높을수록 기업과 국가의 경쟁력이 높다고 한다. 베품의 리더 이탈리아가 16강전 이후 경기 결과를 두고 보여준 행패는 그들의 의식 수준이 떨어져서라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도전의 리더 대한민국이 정말 세계의 리더가 되기 위해서는 붉은 악마가 보여준 자발성과 참여의 의식 수준을 한 단계 더 끌어올려 의식력이 높은 사랑과 평화, 깨달음의 순수 의식으로 만들어야 함을 강조했다.


by 영풍문고
 
비즈폼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1588-8443. 오전9:30~12:30, 오후13:30~17:30 전화상담예약 원격지원요청
전화전 클릭
클린사이트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