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글 나누기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골드바흐의 추론
1742년, 차르 페터 2세(당시 그는 10대 소년이었다)의 가정교사였던 크리스티안 골드바흐가 스위스 최고의 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에게 보낸 편지에서 발견되었다. 골드바흐는 짝수들을 나열해 놓고 이런 저런 계산을 하던 중 모든 짝수는 소수 두 개의 합으로 표현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4 = 2 + 2

6 = 3 + 3

8 = 3 + 5

10 = 5 + 5

50 = 19 + 31

100 = 53 + 47

210,000 = 17 + 20,293

골드바흐는 이것이 모든 짝수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성립하는 성질인지를 오일러에게 물었다. ´분석의 화신´이라 불리던 오일러는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수년 동안 갖은 방법을 다 써보았지만 만족할 만한 답을 찾아내지 못했다.

<골드바흐의 추론>이라 불리는 이 문제는 현대의 컴퓨터로 계산해 본 결과 4,000,000,000,000 이하의 짝수에 대하여 성립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무한히 많은 짝수들이 모두 소수 두 개의 합으로 표현되는지는 아직 증명되지 않았다.

모든 짝수들이 800,000개 이내의 소수들의 합으로 표현된다는 것이 증명되어 있긴 하지만, 이것으로 <골드바흐의 추론>을 증명하기에는 약간의 거리가 있다. 그러나 이 증명은 자체만으로도 소수의 성질에 대하여 깊은 이해를 가져다 주었으며, 1941년에 스탈린은 <골드바흐의 추론>에 한걸음 다가선 이반 마트베예비치 비노그라도프(Ivan Matveyevich Vinogradov)에게 100,000루블의 상금을 수여하였다
 
비즈폼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1588-8443. 오전9:30~12:30, 오후13:30~17:30 전화상담예약 원격지원요청
전화전 클릭
클린사이트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