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
|
|
|  | 대위(大尉)의 딸 |  | |
| 푸쉬킨의
´대위(大尉)의 딸´을 읽고
´대위(大尉)의 딸´은 러시아 작가인 「푸쉬킨」의 작품으로써 따스한 인간미와 사랑, 질투 등이 얽히고, 거기에 양심과 순수성이 돋보이는 글이다.
무대는 ´예카데리나 여제´의 ´제정 러시아´이다.
작품의 전개는 주인공 ´그리뇨프´의 출생으로부터 시작된다.
그는 그의 일생을 통해 어떤 한 인간의 비열함과 한 여자의 뜨거운 사랑, 그리고 어떤 이의 순수한 인간미를 맛보게 된다.
그는 17세가 되던 해에 완고한 아버지의 의견으로 변방요새에 근무하게 되는데 거기서 그 곳 사령관의 딸인 ´마샤´와 사랑에 빠진다.
이로 인해 동료사관인 ´쉬바브린´과 결투를 하게되고 그 결투에서 이긴다.
마침 그 때 ´쀼가초프´를 대 두목으로 하는 반란이 일어나 사령관과 장교들이 목숨을 잃게 된다.
그런데 ´그리뇨프´가 요새로 부임하는 도중에 길을 잃었을 때 ´쀼가초프´가 구해주었고,
그 사례로 ´그리뇨프´가 사례로 옷을 주었는데 그것을 생각해낸 ´쀼가초프´가 ´그리뇨프´의 생명을 구해 준다.
사람은 옛일을 잊어버리는 것이 인지상정이지만 ´쀼가초프´의 행동은 책을 읽는 나로 하여금 또 다른 감정을 느끼게 했다.
´마샤´는 신부집에 숨어 목숨을 구할 수 있었으나 양친의 죽음,
´그리뇨프´의 탈출, 그리고 배반자 ´쉬바브린´이 새 사령관이 됨으로써 괴로운 날들을 보내게 된다.
어떻게 보면 그녀는 대단하고 의지력이 강한 여자다.
세 번의 어려운 고비를 참아내기란 그리 쉬운 일이 아닐텐데....,
한편 요새를 탈출한 ´그리뇨프´는 ´오랜 부르그´로 가서 반격을 시도하려고 하지만 거절당한다.
그러나 이곳도 반도들에 의해 포위당하고 ´마샤´가 ´쉬바브린´과 결혼한다는 소식을 들은 ´그리뇨프´는
탈출을 시도하다가 붙잡히고 만다.
다시한번 ´쀼가초프´ 앞에 불려나간 그는 자초지종을 말함으로써 ´마샤´를 구해낸다.
그 후 반란은 종식되고 ´쀼가초프´는 처형되었다.
그러나 ´그리뇨프´는 비겁한 ´쉬바브린´의 허위증언으로 시베리아로 유배를 가게된다.
이 때 ´마샤´가 여제에게 도움을 청해 ´그리뇨프´가 풀려나는 것으로 이 소설은 마무리된다.
이 책은 현실과 타협함으로써 자신의 목숨을 부지해가는 ´쉬바브린´과
자신의 일을 사랑하고 자기가 사랑하는 사람을 위해 죽음도 불사하는 ´그리뇨프´와의 인물대립이 중점을 이룬다.
거기에 양심적이면서 인간적이고 또 야망을 가진 사나이 ´쀼가초프´를 등장시킴으로써
이 작품을 더욱 인간미 넘치게 만들었다고 생각된다.
어쩌다 한 번 잡게된 러시아 소설이지만 글이라고 하는 것이 나라와 이념을 초월한 것이겠기에 나름대로 재미있게 읽었으며,
서구의 문학이 판을 치는 오늘날에 있어 뭔가 새로운 맛을 느꼈던 작품으로 기억된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