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글 나누기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블랙홀 여행
블랙 홀 여행
최영준

스티븐 호킹 하면 떠오르는 말이 바로 블랙 홀 이다.
오늘 9월 2일, 스티븐 호킹 박사의 ´역사적인´ 서울대 강연이 있어 나는 특별히 담임 선생님의 허락을 받아 강연에 갈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사실 나는 그에 대해 너무나도 상식적인 사실들 밖에 알지 못했다. 박사의 강연을 듣기 전에 그에 대해 공부해 두는 것이 예의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생각난 말이 블랙 홀 이다.
박사의 가장 위대한 연구 업적이 블랙 홀 에 관한 연구였고, 박사가 평생에 걸쳐 연구하고 있는 대상이 바로 블랙 홀 이기 때문에 그를 잘 알기 위해서는 블랙 홀을 잘 알아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블랙 홀의 탄생 원리와 고전이론 에서의 블랙 홀의 종류, 각각의 특징에서부터 블랙 홀에 대한 스티븐 호킹의 연구 결과까지 쉽게 풀이해 놓아 나의 필요에 부합했다.
이 책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뉘는데 첫 부분은 블랙홀의 탄생 원리와 과정을 잘 설명했다.
태양 질량의 1.5 배가되는 별이 점차 커져 적색 거성이 된 후, 중력 붕괴를 일으켜 초신성 폭발로 이어지고, 백색 왜성과 중성자별의 과정을 거쳐 블랙 홀이 되는 과정을 태양 질량 1.5 배미만의 별이 블랙 홀이 될 수 없는 이유와 비교해 잘 설명한 내용이었다.
둘째 부분은 고전적인 세 가지 블랙 홀의 종류와 각각의 특성에 대해 설명했다.
고전적인 세 가지 블랙 홀인 슈바르츠실트 블랙 홀과 커 홀, 라이너-노스트롬 블랙 홀 중 슈바르츠실트 블랙 홀 에서는 빛의 속도로도 빠져나올 수 없는 영역인 사선의 지평선에 관해 설명했고, 커 홀 에서는 블랙 홀의 에너지 원 으로서의 이용 가능성에 대해 설명했는데, 블랙 홀을 발전기의 터빈처럼 이용해서 막대한 에너지를 얻어낸다는 가설이 매우 흥미로웠다. 또, 이 장에서는 일반인들이 블랙 홀에 대해 갖고있는 여러가지 오해들을 풀어냈는데, 예를 들자면 블랙 홀에서의 시간 여행은 우리가 블랙 홀 안에 들어갔을때 사건의 지평선 안에서의 등가 조력에 의해 우리의 질량이 무한대로 늘어나게 되면서 결국 불가능하다는 것이 그것이다.
마지막 셋째 부분에서는 스티븐 호킹 박사가 제창한 우주 초기의 미니 블랙 홀들과, 블랙 홀 에서도 복사가 일어난다는 호킹복사, 그리고 블랙 홀이 빨아들인 것들을 내뱉으면서 결국 증발한다는 블랙 홀 증발 이론 등을 설명하면서 끝을 맺고있다. 내용 중에서 우주 초기에 그 밀도가 블랙 홀의 밀도와 대등했기 때문에 많은 미니 블랙 홀 들이 생겨날 수 있었다는 부분이 블랙 홀의 생성 과정을 나타냈던 앞의 부분과 비교해 이해하는데 애를 먹었지만 이해하고 넘어가지 않을 수 없을 만큼 흥미롭고 중요한 이론이었다. 또한, 잠시 책을 떠나서 오직 머리와 두 손가락만으로 이런 훌륭한 이론을 창안해 낸 스티븐 호킹 박사의 불굴의 의지에 대한 존경 스러움과 사지가 멀쩡한 사람으로서의 나의 모습에 대해 부끄러움을 느꼈다.
이 책을 통해 스티븐 호킹 박사와 그의 블랙 홀 이론, 그리고 블랙 홀 이란 추상적인 주제에 대해서 보다 원론적으로 알게 되었다. 과학을 좋아한다면서 실제로 과학을 공부하는데 소홀했던 것을 후회하게 되었고, 이제 보다 많은 과학 서적을 통해서 과학을 공부하고 과학적 사고를 길러야 겠다는 생각을 하게된 좋은 계기였다.

 
비즈폼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1588-8443. 오전9:30~12:30, 오후13:30~17:30 전화상담예약 원격지원요청
전화전 클릭
클린사이트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