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
|
|
|  | 망하거나 죽지 않고 살 수 있겠니 |  | |
| 이지형 : <망하거나 죽지 않고 살 수 있겠니>
출판사 : 문학동네 / 출판일 : 2000년 9월 15일 / 페이지수 : 238
<사실 만난 게 행운>
한국 소설을 많이 읽는다고 할 수 없는 나지만, 한국 소설에 대한 불만은 있었다. 우선 왜 우리 나라는 거장, 노장으로 불리는 작가나 여성소설을 집필하는 작가들을 제외하면 나 같은 사람들이 이름을 기억을 할 만한 작가는 없는 것일까? 이런 생각을 해봤다. 자세히는 모르지만 우리 나라에서 소설가가 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지 않을까?
첫째, 신문사나 출판사에서 주최하는 신인작가 공모전에 적어도 한 번은 입상을 한다. 둘째, 소설을 열심히 쓰면서 쨍하고 해뜰 날을 기다리는 것이다. 소득상에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호프만처럼 직업을 2개 가지고 생활하는 이중 생활을 하는 수도 있겠다. 이런 가정으로 생각해서 그런지 몰라도 이제까지 유명작가의 소설이라는 것을 읽을 것을 잘 생각해보면 소재에 한계가 있었다고 생각한다.
사실 이런 상황에서 이런 소설을 읽게 된 것은 상당히 행운이라고 생각된다. 이런 독특한 소재의 소설이 선을 보인다는 것 자체가 말이다. ´망하거나 죽지 않고 살 수 있겠니´의 무대는 심각하기 그지없는 일제하의 경성일지 모르지만, 잘 생각해보면 공상과학소설에 버금가는 상상의 날개를 보여준다.
우선 소재 자체가 그렇다. 일제하의 조국을 위해 싸운다고는 하지만 알고 보니 아무 것도 아닌 독립투사 아가씨와 이 아가씨를 사랑하는 애인을 구하는 것이 나라를 구하는 것보다 힘들다고 생각하는 얼간이 같은 총독부에 근무하는 청년의 러브스토리라, 확실히 소재가 특이했기 때문에 처음부터 흥미 있게 읽을 수가 있었다.
그러나, 결말까지 읽고 난 후의 느낌은 뭐라고 꼭 꼬집어 이야기는 힘들다. 소설이 내포하고 있는 주제가 심각한 것이라 내가 못 찾은 것일 수도 있으나, 역사책의 한 페이지인 일제시대도 현대와 같은 시대로 혼란스럽고 살아가는 것이 참 우스꽝스러운 일이라는 정도의 느낌 밖에 들지 않는다.
재미있게 읽고 나서 이런 이야기를 하는 것 자체도 참 우스운 일이라고 할 수도 있겠다. 블록버스터라고 재미있게 보고 나서 감동이 없다는 둥 예술영화라고 보고 나서 재미가 없다고 말하는 것처럼...
이 소설을 만난 것 자체가 행운이라는 것 외에 더 자세한 평가는 다음 소설이 나온 뒤에 가능할 것 같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