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글 나누기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이슬람과 미 패권주의
파워즈거즈스 : <이슬람과 미 패권주의>

역자 : 장병옥 / 원서명 : American and Political Islam / 원저자명 : Fawaz A.Gerges / 출판사 : 명지사 / 출판일 : 2001/11/30 / 페이지수 : 350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에 대하여>
테러리스트, 극단주의자, 과격주의자 같은 말은 서구에서 그를 평가한 말들이다. 중동의 영웅, 아프간의 구세주, 지하드의 지도자 같은 말은 이슬람 문화권에서 그를 평가한 말들이다. 평가하는 집단에 따라 평판이 극에서 극을 달리는 여기서 말하는 그는 9·11테러 사건으로 전세계의 이목을 한꺼번에 받았던 `오사마 빈 라덴`이다.
물론 나는 9·11사건이 있기 전엔 오사마 빈 라덴이란 사람을 몰랐던 것은 물론 그가 영웅으로 추앙받는 중동에 대해서는 단순히 석유가 많이 나고, 테러리스트들이 많은 지역이라고 아는 것이 고작이었던, 어찌 보면 평범한 학생이었다. 이런 이유에서 9·11사건 이후 난 이슬람에 대해 `너무 했다`, `아무리 그래도 그렇게 한 건 심했다`라고 생각했었다.
또 세계 여러 나라의 학자들은 `문명의 충돌`이니 하는 책을 쓰곤 했다. 그런 책들을 보면서 이슬람 사람들이 이렇게까지밖에 그들의 의사를 표명할 수 없었구나 하며 조금씩 이해했고, 그 동안 내가 알고 있었던 중동에 대한 이미지가 서구 시각으로 고정되어 있었다고 느꼈다.
어떤 한가지 사물을 바라보는데 있어서 편향된 사고가 매우 위험한 태도라는 것을 깨달았다. 이런 관점에서 이 <이슬람과 미패권주의>라는 책은 적절한 자료들을 통한 철저한 비교, 분석으로 상당히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시각에서 씌여진 책이라고 생각된다. 이 책의 앞부분에는 미국의 총체적인 외교 정책과 대 이슬람 정책에 대해 자세히 서술되어 있고 후반부에는 이슬람 문화권의 주요 나라별 전반적인 상황과 거기에 대한 미국의 영향력 미 정부의 현 정책의 실제와 이상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대한 비판과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있어서 아주 인상적이었다.
이 책을 읽고 미국의 아프간 전쟁이 단순히 9·11사건에 대한 보복전쟁이 아닌 이슬람과 기독교문화의 충돌을 빙자한 미국의 국익과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 책을 읽고 `문명의 충돌이냐? 국가의 이익이냐?`라는 의문의 해결은 물론 그 동안 편중되어 있었던 이슬람에 대한 편견이 해소되었고, 세계 유일의 정의 국가로 알고 있었던 미국에 대한 이미지와 더불어 미국의 패권주의의 허구성도 자각할 수 있었다.
이런 의미에서 이 책을 읽고 이슬람 국가와 미국의 패권주의에 대한 정보를 알았음은 물론, 이보다 세상을 바라볼 때 중립적이고 균형적인 시각으로 봐야한다고 느낀 것이 더 수확이 아니었나 싶다. (영풍문고 전재)




by http://www.edu.co.kr/kwank99
 
비즈폼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1588-8443. 오전9:30~12:30, 오후13:30~17:30 전화상담예약 원격지원요청
전화전 클릭
클린사이트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