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   
          |  |  |  |   | | |  |  | 치매 이제는 나을 수 있다 |  |  |  | 
 |  | 치매 이젠 나을 수 있다 
 삼양초등학교            5-5  양설빈
 
 
 우리나라에서 보통 치매라고 불르는 ´알츠하이머´은 무서운 병이다.미국
 의 전직 대통령 레이건도 알프하이이
 머 병에 걸려서 자신이 대통령이었단 사실조차 몰랐다. 이 병에 걸리면
 모든 것을 잊어버리게 된다. 만약 이병
 에 걸리면 금방 나가서 자신이 왜 나왔는지도 모르고,자신의 집이 어디인
 지 조차 모른다. 그래서 할아버지 할
 머니들은 이 병에 걸리는 것을 두려워 한다.
 과학자들은 이병을 고치기 위해 오랫동안 연구를 해왔다.그러다가 ´안파
 카인´이라는 기억력 향상제를 개발했
 습니다.연구팀은 건강한 20대의 젊은이와 65에서70세의 나이가 든 분들
 계 이약을 복욕한 후 뜻 없는 10개의
 단어를 읽어주었더니 5분후 약을 먹지 않은 젊은이와 d나이가 든 분들이
 각각 4개와 1개의 단어를 기억해냈
 다. 반면 어른들은 치매와 건망증을 잘못 알고 있다. 기억을 못한다는 것
 은 비슷하하지만 실제로는 매우 다르
 다.건망증은특정한 사실을 잊고있는것이고 치매는 나이가 들어서 뇌에
 지적 능력이 갑자기 떨어지는 것을 말
 한다.치매는 대개 지능 장애뿐 아니라 감정 의욕에도 문제도 생기며 말하
 는 능력도 떨어진다.
 의학기술과 문화수준이 발달하면 저절로 노인의 수명도 늘어난다 60세
 의노인수가 세계적으로 6억분의 500만
 명이고 오는 2050년에는 20억으로증가할것이라고 했다. 그리고 0~14세
 의 어린이도 2050년에 20억에 달할 것이
 다. 인구는 53%가 아시아이고 24%가 유럽에 사는 사람들이 라고 한다.
 수명이 늘어난다는 것은 생활이 더 좋
 아졌다는 뜻이다. 그래서 선진국일수록 오래 사는 노인들이 많다.
 치매도 나읋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 있다, 기억의 회복에 대한 연
 구가 활발해지면서 기억력 회복에 도
 움을 주는 약이 개발되고 있다.무조건 약이라고 해서 다 좋은 것은 아니
 다.부작용이 있을수도 있어. 병이 더
 악화 될수도 있다. 그렇다면 이 부작용을 어떻게 막을수 있을까? 맞추어
 적당한 약을 복용하고, 또 시간에 약
 을 복용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내가 2050년도에 20억명의 노인들중
 1명일지도 모른다
 그래서 치매에 걸리지 않도록 음식도 골고루 먹고, 운동 열심히 하며 책
 도 많이 읽어야 겠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