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
|
|
|  | 서진규 자전에세이 |  | |
| ´서진규 자전 에세이´를 읽고
학원 선생님의 권유로 읽게 된 ´서진규 자전 에세이´ ...
나에게 미래를 만들어 갈 힘을 준 책이다.
서진규는 어렸을 때 자신의 힘들고 불행한 인생을 개척해서 지금은
하버드 박사학위를 논문을 준비하고 있다. 그러나 서진규와 비교해 볼
때 나는 좋은 환경에서 생활을 하면서도 그 진취성이 보이지 않는다.
그래서인지 이 책에서 나는 많은 것은 배울 수 있었다.
특히 서진규가 어렸을 때 남녀 차별이란 것을 느낀 서진규는 자신은
어머니나 주위 사람들로부터 쓸모 있는 아이라고 인정받으려 했다. 그
래서 ´멋진 반항아´가 되어 버린 서진규. 세상엔 반항아라면 부모님 말
씀이나 규칙을 반대하고, 어기는 아이들이라고 생각하겠지만 서진규가
추구한 멋진 반항아는 고정관념이나 봉건의 잔재에 물들어있는 사람들
을 따라 변하지 말고 자기 스스로가 미래를 만들어 나가는 ˝아이˝ 라는
말에 공감한다. 멋진 반항아는 개척해 나갈 줄 알고 물들지 않으며 독
특했다. 바로 내가 원하는 나의 모습처럼...
서진규가 미국으로 가기 위해 비자를 만들었을 때 과연 미국에서 잘
살수 있을까? 라고 고민할 때 서진규는 자신에게 이렇게 말했다. 나에
겐 아직 죽음이라는 비상구가 있잖아 겁내지마 그리고 서진규는 나에
게 이렇게 속삭였다. ´혼자 생각으로 결심하려고 하지마... 자기 자신과
진정한 합의가 이루어지어야 만이 가장 큰 힘을 발휘한다´고.. 별로 깊
이 생각해보지 않았던 생각이다. 나의 결심은 항상 오래가지 못했다.
하루 길면 일주일... 그건 분명 내 자신과의 합의가 없었거나 그 합의
의지가 나약했기 때문일 것이다. ˝남아일언은 중천금이다˝라 했다. 앞으
론 내가 결심하여 내뱉은 말은 번복시키지 않도록 해야 겠다.
서진규는 항상 무슨 일에 도전하기에 앞서 세 가지의 리스트를 작성
했다.
첫째, 나에게 꼭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둘째, 내가 가지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셋째, 나는 무엇을 준비하야 하는가.
이 세 가지 문제에 답할 수 있다면, 현재의 나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는 것이다. 희망에 도전하려는 나를 알고 있다면, 그 희망은 이미 절
반을 이룬 샘이다. 나도 서진규처럼 이 세 가지 리스트를 실천해 희망
에 대한 도전을 성공해 나 자신을 이기는 사람이 되어야 겠다고 다짐
했다.
그리고 남편에게 심한 폭행을 당하면서도 자식 앞에선 싸우는 모습을
보이지 않겠다고 하는 서진규의 인내심과 이혼을 두 번한 서진규. 처
음에는 폭행으로 피해보는 자식과 자신의 인생을 위해서 두 번째는 한
청년을 구제하기 위해서 였다. 또 우리 나라의 남자들은 함께 사는 사
회에서 남존여비 사상을 버려 행복한 가정을 만들도록 해야겠다.
이 책을 읽고 나서 난 나 자신에게 나보다 힘든 상황에 있는 서진규
는 성공을 했는데 나도 할 수 있다고, 내 자신에게 희망을 불어넣었다.
어떤 힘든 상황에서도 무엇이든 열정을 쏟아 부은 서진규는 그 모든
힘든 상황을 꺾고 자기 자신의 미래를 만들어 갔다. 서진규는 나에게
삶을 잘살아 가는 본보기가 된 인물 1위로 어느새 자리 잡았다. 그리
고 내가 진취성을 보이지 못했던 것은 바로 지금 난 나에게 만족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꿈이 큰 나에게 있어서 세상에서 가장 위험한 생
각을 했던 것이다. 꿈을 이루기 전 까진 꿈꾸는 사람을 가혹하게 다룬
다고 했다. 꿈을 꾼다는 것은 죽음을 각오한다는 뜻 오늘도 이 말을
되새기며 내 미래를 향해 나는 힘차게 달려간다.
by 정선독후감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