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
|
|
|  | 오늘은 내가 반달로 떠도 |  | |
| 가을이다.
밖엔 뒤늦은 태풍에 비가 내리고 있다. 아직 빨갛고 노란 고운 단풍잎을 보지 못해 가을임을 실감하지 못하지만 드높게만 보이는 파란 하늘이 가을임을 말해주는 것 같다. 요즘 부쩍 하늘을 많이 본다. 하늘빛이 요즘처럼 예쁘고 아름답게 보인 적은 없다. 정말 빠져들고 싶도록 예쁘다. 그 아름다움에 취해 나는 요즘 이런 저런 순수한 명상에 잠긴다. 때 이른 가을의 아름다움을 한껏 느끼며 지내고 있는 것이다.
그렇게 지내고 있던 나는 그러한 아름다운 생각에 좀 더 깊이 빠져보고 싶어 이해인 수녀님의 시집을 손에 들었다. 처음 30개의 짧은 시들은 제목이 ´가을편지´였다. 내가 이 시집에 빠져들지 않을 리 없었다. 처음 부분을 읽으며 난 내가 느낀 가을의 아름다움과는 또 다른 아름다움을 맛보았다. 끝까지 읽어가며 나는 계속 감탄사를 내뱉었다. 아니, 책에서 눈을 뗄 수조차 없었다. 잠시도 감탄을 멈출 여유 없이 시 하나 하나가 다가왔다고 하는 게 옳을 것이다. 아마 시집을 읽고 있는 나의 표정을 누군가 옆에서 보았다면 정말 웃음이 나왔을 것이다.
두 번째 10개의 시 제목은 ´내가 뛰어가던 바다는´이다. 난 바다를 참 좋아한다. 특별한 추억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그저 탁 트이고 한없이 넓은 바다가 좋다. 여러 시인들이 쓴 바다에 대한 시도 많이 읽어봤지만 이해인 수녀님이 느낀 바다는 또 색다른 느낌이었다. 시를 읽고 있으니 나에게도 뭐라고 말로 표현할 수 없는 느낌들이 파도처럼 밀려왔다. 그녀의 시에선 바다에 대한 아름다움을 느끼기보다 그 바다를 바라보는 한 인간의 모습, 정신적인 세계에 대해 느낄 수 있었다. 감탄도 하고, 반성도 하고, 명상도 하고……. 이러한 모습에 많은 사람들이 그녀의 시를 훌륭하다고 평가하나 보다.
이해인 시를 한 단어로 요약하라면 어떤 말이 어울릴까? 글쎄, 나는 순수, 아름다움, 이러한 말들을 붙여 주고 싶다. 우리는 국어 시간에 시대적 현실과는 무관하게 예쁘고 아름다운 순수시만을 쓴 시인들에 대해 배운다. 그들을 비판적 시각으로 바라보는 사람도 많다. 그러나 누가 이해인의 시를 비판할 수 있을까. 이해인의 시는 단순한 아름다움이 아닌 정신적인 아름다움을 노래하고 있었다. 특별히 눈에 띄는 수식어 없이 평범한 단어들의 조합만으로도 이렇게 아름다운 말들이 만들어짐에 나는 놀랐다. 지나친 기교로 꾸민 언어도 아닌, 너무 아름다운 언어만 골라 놓은 어색함도 아닌, 신선함을 주는 그녀의 시들. 그것에 우리 모두는 깊이 공감하는 것이다. 아마 이해인 수녀님의 마음은 그녀의 시보다 한층 더 아름답고 고귀하리라.
그런 그녀의 시를 더 높게 만드는 것은 종교적인 아름다움이 아닐까? 이 시집을 읽기 이전, 난 이해인 수녀님에 대해 잘 몰랐다. 그저 훌륭한 수녀님이라는 것 밖에. 그래서 처음 시를 읽으며 조금은 당황했다. 대부분의 시들은 사랑을 노래하고 있었다. ´당신´이라는 단어도 셀 수 없을 만큼 많았다. 이해인 수녀님에게 사랑하는 연인이 있었나? 그 사람을 버린 채 수녀가 되었나? 별별 이상한 상상까지 다 해 가며 계속 시를 읽어 나갔다. 어느 정도 읽다 보니 내가 어떻게 보면 지극히 당연한 것을 모르고 있음을 알았다. 그렇다 ´당신´은 바로 신이었다. 신에게 이러한 사랑을 느끼고 표현하다니. 그녀의 시가 이토록 아름다운 건 바로 시를 형성하는 바탕이 신에 대한 사랑, 바로 아가페적인 사랑이기 때문일 것이다.
시집을 읽다 보니 종교인으로서의 삶도 정말 가치 있는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우리 집의 종교는 불교이다. 한 때 이런 생각을 잠시 한 적도 있다. 이런 세속적 욕망에서 벗어나 비구니가 되면 어떨까. 그것이야말로 진정한 삶이 아닌가. 물론 잠깐 생각에 그쳤지만 그런 종교적 삶이 고귀함은 틀림없는 것 같다. 깊은 신앙심 속에서 비로소 올바른 정신의 가치와 지극한 아름다움이 실현되고 있지 않은가. 이해인 수녀님은 종교인으로서, 인간으로서 매우 고귀한 삶을 살고 계신다. 그러한 마음과 정신은 시대가 변해도 결코 변하지 않을 가치로 남을 것이다.
시집을 다 읽고 나니 내 마음 한 구석에 무언가 피어오르는 듯하다. 뭐라 표현할 수 없는 느낌들이 계속 밀려오고 머리 속에선 이 생각, 저 생각이 맴돌기만 한다. 가을은 독서의 계절이라고들 하지 않는가. 다른 이해인 수녀님의 시, 글들도 읽어봐야겠다. 이번 가을 이런 저런 아름다운 생각들로 내 마음을 살찌울 수 있을 것 같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