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
|
|
|  | 성공하는 웹 기획, 실패하는 웹 기획을 읽고... |  | |
| 이 책을 처음 읽으리라 마음먹고 이후에 책에 대한 욕심을 많이 가졌다.
이 책은 상당히 원론적이며, 도식화하여 쉽게 표현하려 하였으나 대충 훑어보며 느꼈지만, 그렇게 만만한 책은 아니리란 생각이 들었다. 내용이 난해하여 읽기 어려운 책이란 것이 아닌 워낙 책이 말하고자 하는 주제와 핵심 테마가 광범위하고 포괄적이라 정독하며 내용을 머리속으로 체계를 잡으며 읽어 나가지 않는다면 읽고 난 이후에 금방 잊혀질 만큼 머리에 쉽게 새겨지는 내용은 아니었다는 것이 솔직한 느낌이다.
아쉽게도 나는 이 책을 완독하지 못하고 감상문을 적는다.
시간이 없었다는 구차한 변명보다는 꼭 한번 완독하여 머리속으로 정리해 볼 수 있을 기회를 갖고 싶다는 것이 내 생각이다.
이 책은 웹이라는 기반매체에 대한 어느 정도의 이해 없이는 완독하기 힘들것이라 싶을 만큼 웹 기획 접근을 위한 직설적인 설명과 이해를 위한 부가 설명 없이 핵심만을 얘기하여 주고 있었다.
웹 기획이란 것이 결국 웹이라는 수단을 통한 상품화와 매출, 그리고 수익을 위한 계획단계, 준비단계 같이 광고적 접근을 상당히 중요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전에 광고디자인이란 과목을 이수한 적이 있다.
당시 웹 매체가 아닌 대중매체를 통한 광고에서 중요시되었던, 매출을 조성하는 고객을 위한 브랜드 마케팅, 이를 위하여 브랜드의 소비자 접근 유연성을 위한 브랜드 내부분석, 자사 브랜드가 타사 브랜드와 비교해 보았을 때의 강점(Strength)과 약점(Weakness)분석, 브랜드가 가지는 기회(Opportunity)는 무엇이며 타사 브랜드와 비교시 위협요소(Threat)는 무엇인가의 일목요연한 분석을 통하여 이후에 광고 런칭을 위한 핵심 컨셉을 도출해 낸다.
광고에서는 그것을 SWOT분석이라 하며, 이 책에서도 기획을 통하여 그러한 것들을 분석하여 그래프화하며 자사의 웹 컨텐츠의 경쟁력분석, 분석단계에서 도출된 자료를 토대로 웹사이트를 위한 기획단계가 진행된다는 것을 설명하고 있는 듯 했다.
아직 완독하지 못하여 설명하기는 어렵지만..
이책의 내용은 꼭 머리속으로 정리하며 체계화해 보고픈 욕심이 생기는 책이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