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
|
|
|  | 인적자원관리 |  | |
|
1.
처음에 독서감상문이라는 제도가 있다는 것에 대해 개인적으로 상당히 호감을 가졌다.. 사실 바쁜 직장생활에서 집중하다 보면 어느 순간에는 조직과 나 개인 사이의 목표의 일치점을 찾기 위해 생각을 해 볼 때가 있다.
독서를 통한 개인의 실력 혹은 자아개발은 이러한 괴리를 어느 정도 메꾸어 주리라고 판단하기에 이에 대한 회사의 정책에 공감이 갔다고나 할까. 나 자신은 독서에 있어서 다소 재미없는 스타일이다. 우선 소설은 별로 좋아하지 않으니까. 주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책을 선호한다. 정보취득 또는 현실 활용을 못하는 책은 왠지 시간 낭비인거 같아서..
그렇다고 무조건 딱딱한 책만 좋아하는 것도 아니다..만화책도 좋아한다. 그렇지만 시간을 내서 책을 읽는다면 사회과학서적이나 법률관련 서적을 읽는 것을 선호한다. 시간이 없다는 핑계로 많은 여가활용을 하지는 못했지만 이제 제대로 실천해 보고자 한다.
2.
이번에 읽은 책은 인적자원관리라는 사회과학 서적이었다..개인적으로 인사관리를 오래 담당해 온 나로서는 책을 통한 이론적 부분에 대해 궁금하였기에 이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이미 많은 우량기업이나 자타가 공인하는 대기업들은 자체의 인적 인프라 구축을 위해 많은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으며, 이것은 현재도 그렇지만 장래도 해당 기업들의 상대 우위의 입장은 여전히 지속될 것임은 믿어 의심치 않는 바이다
이 책에서는 사람을 다루는 분야인 인적자원관리의 발전단계를 생산요소인 노동력의 효율적 활용과 통제를 강조하던 인사관리 (personal management : PM)에서 인적자원의 개발측면을 상대적으로 강조하는 인적자원관리 (human resource management : HRM)로 발전하고 이것은 점차 일부 대기업 및 초우량기업에서 채택하고 있는 전략적 인적자원관리(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 SHRM)로까지 발전해 나감을 분석해 놓고 있으며, 다시 그 미시적 부분에 있어서 다시 인적자원관리의 기초, 인적자원관리의 고용, 인적자원의 개발, 인적자원의 보상, 인적자원의 유지, 인적자원의 방출의 순서로 각 내용상의 상세한 기법이나 평가방법 등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미시적 부분을 논하는 것은 별도로 하고 실무에 있었던 과거의 경험상 이러한 인적자원의 전략적 관리로까지 하는 기업들과 나 자신이 인사책임자로서 일선에서 있으면서 이에 해 많은 이해가 부족했다는 면에서 아쉬움이 들었다. 하지만 그나마 이제 이론적으로 조금은 책을 읽으면서 전반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는 점에서 만족한다.
3.
이제 날씨가 확연히 겨울로 접어들었다.. 거창하게 전략적 인적자원관리는 아니더라도 우리 개인의 일상에서 내 주변의 사람들에 대한 기초적인 인사관리부터 해 보는 것은 어떨까 생각해 본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