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글 나누기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옥석혼효(玉石混淆), 옥석동쇄(玉石同碎)
옥석혼효(玉石混淆)
옥과 돌이 어지럽게 뒤섞여 있다는 뜻.
좋은 것과 나쁜 것이 뒤섞여서 좋고 나쁨을 구분하지 못할 때 쓰이는 말.

- 동의어 : 옥석동궤(玉石同櫃), 옥석동쇄(玉石同碎)

玉 : 구슬 옥
石 : 돌 석
混 : 섞일 혼
淆 : 뒤섞일 효

출전(出典)은 《포박자(抱朴子)》 외편 상박(外編 尙博)이다. 동진(東晉)시대 도가 계열의 철학자인 갈홍(葛洪)은 《포박자》의 저자인데, 이 책으로 인해 도교가 하나의 사상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이 책의 상박편에는 이런 말이 나온다. “시경(詩經)이나 서경(書經)이 도의 큰 바다라고 한다면 제자백가(諸子百家)의 글은 이것을 보충하는 냇물의 흐름이다. 방법은 달라도 도를 닦는 데는 다름이 없다. 옛사람들은 재능을 얻기 어려움을 탄식하여 곤륜산(崑崙産:중국 전설상의 산)의 옥이 아니라 해서 야광주(夜光珠)를 버리거나 성인의 글이 아니라 해서 수양이 되는 말은 버리지 않았다. 또 천박한 시부를 감상하는가 하면 뜻깊은 제자백가의 책을 하찮게 여기며 유익한 금언(金言)을 하찮게 생각한다. 그래서 참과 거짓이 뒤바뀌고(眞爲顚倒) 옥과 돌이 뒤섞이며(玉石混淆) 아악(雅樂)도 속악(俗樂)과 같은 것으로 보고 아름다운 것도 누더기로 보니 참으로 개탄스럽기 짝이 없다.”

갈홍은 이렇듯 쉽고 편안한 것만을 찾는 세태를 한탄하며 말초신경을 건드리는 천박한 글에 사람들의 마음이 휩쓸리는 것을 애석해 했다.
 
비즈폼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1588-8443. 오전9:30~12:30, 오후13:30~17:30 전화상담예약 원격지원요청
전화전 클릭
클린사이트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