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글,좋은시,훈화,연설문,명언,독서감상문,독후감,사자성어,속담

剝面皮(박면피)
博施濟衆(박시제중)
薄志弱行(박지약행)
反面敎師(반면교사)
反覆小人(반복소인)
百聞不如一見(백문불여일견)
不入虎穴不得虎子(불입호혈부득호자)
遼東之豕(요동지시)
移木之信(이목지신)
中石歿燭(중석몰촉)
七步之才(칠보지재)
곡학아세 (曲學阿世)
문외한(門外漢)
眉目秀麗 (미목수려)
삼라만상 (森羅萬象)
식전방장(食前方丈)
수렴청정(垂簾聽政)
형제간 우애를 나타내는 고사성어
위태로운 일의 형세를 나타내는 성어
여자와 관련된 고사성어
독서와 관련된 고사성어
노력에 대한 고사성어
인생무상을 나타낸 말 -우천
말과 글에 관련된 말 -우천
자연친화적인 말
정치-파당/다툼-전쟁에 관련되 말
교육과 관련되 말
애이불비(哀而不悲)
삼국지 고사성어
수오지심 [ 羞惡之心 ]
고복격양(鼓腹擊壤)
고굉지신(股肱之臣)
계포일락(季布一諾)
계명구도(鷄鳴狗盜)
계륵(鷄肋)
계구우후(鷄口牛後)
경이원지(敬而遠之)
경국지색(傾國之色)
결초보은(結草報恩)
격물치지(格物致知)
검려지기(黔驢之技)
걸해골(乞骸骨)
걸견폐요(桀犬吠堯)
건곤일척(乾坤一擲)
거자불추 내자불거(去者不追 來者不拒)
거재두량(車載斗量)
거이기 양이체(居移氣 養移體)
거안제미(擧案齊眉)
개문이읍도(開門而揖盜)
개관사정(蓋棺事定)
개과천선(改過遷善)
간장막야(干將莫耶)
강노지말(强弩之末)
간담상조(肝膽相照)
각주구검(刻舟求劒)
가정맹어호(苛政猛於虎)
가인박명(佳人薄命)
近悅遠來(근열원래)
象著玉杯(상저옥배)
開物成務(개물성무)
臨深履薄(임심리박)
寒往署來(한왕서래)
無稽之言(무계지언)
人非木石(인비목석)
亂臣賊子(난신적자)
知易行難(지이행난)
樂天知命(낙천지명)
猿猴取月(원후취월)
垂頭喪氣(수두상기)
爲淵驅魚(위연구어)
翁壻盜婢(옹서도비)
追女失妻(추녀실처)
涸轍鮒魚(학철부어)
堤潰蟻穴(제궤의혈)
絶纓之會(절영지회)
遇事生風(우사생풍)
泥田鬪狗(이전투구)
袴下之辱(과하지욕)
焦頭爛額(초두란액)
平易近人(평이근인)
출곡반면(出告反面)
狗猛酒酸(구맹주산)
見彈求炙(견탄구적)
월시진척(越視秦瘠)
聞過則喜(문과즉희)
一薰一유(일훈일유)
無用之用(무용지용)
명철보신 明哲保身
맹인모상 盲人摸象
小兒辯日(소아변일)
送舊迎新(송구영신)
과문불입(過門不入)
천지지지자지아지[天知地知子知我知]
욕속부달 욕교반졸[欲速不達 欲巧反拙]
색즉시공 공즉시색 [色卽是空 空卽是色]
삼십육계주위상책[三十六計走爲上策]
태공망(太公望)
가서만금 (家書萬金)
절치부심(切齒腐心)
刻舟求劍(각주구검)
[이전 30개] [다음30개]


비즈폼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1588-8443. 오전9:30~12:30, 오후13:30~17:30 전화상담예약 원격지원요청
전화전 클릭
클린사이트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