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글 나누기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군맹상평(群盲象評) 소경이 코끼리를 논하듯 전체를 보지
군맹상평(群盲象評)
소경이 코끼리를 논하듯 전체를 보지 못하고 일부분만 보고 자기 주장을 고집한다.
- 비 : 군맹무상(群盲撫象)

상세 :
여러 소경이 코끼리를 어루만진다는 뜻. 곧 ① 범인(凡人)은 모든 사물을 자기 주관대로 그릇 판단하거나 그 일부밖에 파악하지 못함의 비유. ② 범인의 좁은 식견의 비유.

인도의 경면왕(鏡面王)이 어느 날 맹인들에게 코끼리라는 동물을 가르쳐 주기 위해 그들을 궁중으로 불러 모았다. 그리고 신하를 시켜 코끼리를 끌어오게 한 다음 소경들에게 만져 보라고 했다. 얼마 후 경면왕은 소경들에게 물었다.
˝이제 코끼리가 어떻게 생겼는지 알았느냐 ?˝
그러자 소경들은 입을 모아 대답했다.
˝예, 알았나이다.˝
˝그럼, 어디 한 사람씩 말해 보아라.˝
소경들의 대답은 각기 자기가 만져 본 부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달랐다.
˝무와 같사옵니다.(상아)˝
˝키와 같나이다.(귀)˝
˝돌과 같사옵니다.(머리)˝
˝절굿공 같사옵니다.(코)˝
˝널빤지와 같사옵니다.(다리)˝
˝독과 같사옵니다.(배)˝
˝새끼줄과 같사옵니다.(꼬리)˝
이 이야기에 등장하는 코끼리는 석가모니(釋迦牟尼)를 비유한 것이고, 소경들은 밝지 못한 모든 중생(衆生)들을 비유한 것이다. 그리고 이 이야기는 모든 중생들이 석가모니를 부분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는 것, 즉 모든 중생들에게는 각기 석가모니가 따로 있다는 것을 말해 주고 있는 것이다.

 
비즈폼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1588-8443. 오전9:30~12:30, 오후13:30~17:30 전화상담예약 원격지원요청
전화전 클릭
클린사이트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