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글 나누기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빈칸´인가 ´빈간´인가
´빈칸´인가 ´빈간´인가
글자가 들어가야 할 자리를 나타낼 때 빠짐표를 씁니다. 빠짐표는 네모이며, 들어가야 할 수효만큼 쓰게 됩니다. 이와 같은 빠짐표를 쓴 문제를 흔히 완성형 문제라고 합니다.

˝다음 빈카에 알맞은 말이나 사항을 써 넣으시오.˝와 같은 형식을 쓰게 되는데, 이때 ´빈칸´이라고 해야 할지 가끔 망서여질 때가 있습니다. 또 사이를 띄울 때, ´한 칸 벌이리라´고 해야 할지, ´한 간 벌리라´고 해야 할지, ´위칸´인지 ´윗간´인지 아리송할 때도 있습니다. ´방 한 칸´인지, ´방 한 간´인지, ´칸막이´인지 ´간막이´인지 더욱 모호해집니다. 이와 같은 경우 새 표준어 규정에 따르면, ´한 칸 벌리라´, ´윗간´, ´방 한 칸´, ´칸막이´라고 해야 옳습니다.

* 대화(부부간) *
(남) : ˝여기에 칸막이를 설치해서 이 방을 두 칸으로 나누면 어떨까?˝
(여) : ˝애들 방을 따로따로 쓰게 하려면 그게 좋지요.˝
(남) : ˝그보다도 이 방을 따로 전셋방으로 내놓을까 해서 하는 말이오.˝
(여) : ˝그런 생각일랑 아예 마세요. 전셋돈 받아서 홀랑 털어먹으면 어쩔려고요.˝

* 여러분 잠깐만! *
´달아 달아 밝은 달아, 이태백이 노던 달아´란 민요에 나오는 ´초가삼간 지어내서´할 때도 ´초가삼간´으로 써야 할까요?

´초가삼간(草家三間)´과 같이 관습적인 표현에서는 그냥 ´초가삼간´으로 쓰기로 되어 있습니다. 천 칸이나 되는 큰 집도 ´대하천간(大廈千間)´이라고 씁니다.
또한 ´윗간´, ´아랫간´ 할 때도 ´간´으로 씁니다. 원말이 ´칸´이라면 ´위칸´, ´아래칸´이 되어야 할 것이나, 원말이 ´간´이기 때문에 ´윗간´이 되어야 합니다.

 
비즈폼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1588-8443. 오전9:30~12:30, 오후13:30~17:30 전화상담예약 원격지원요청
전화전 클릭
클린사이트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