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글 나누기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단사표음(簞食瓢飮)
단사표음(簞食瓢飮)

簞 대광주리 단, 食 밥 사, 瓢 표주박 표, 飮 마실 음

´도시락 밥과 표주박 속의 국´이란 뜻으로, 구차하고 보잘 것 없는 음식을 이르는 말

簞은 본디 대나무(竹)로 엉성하게(單) 얽은 작은 소쿠리를 뜻하며, 食은 ´먹다´일 때는 ´식´, ´밥´일 때는 ´사´로 발음한다.

단사표음(簞食瓢飮)은 안회(顔回)에게서 유래된 고사로 우리 나라 과거 역사에서 선비의 이상적 정신 자세를 가늠하는 척도로 작용할 정도로 그 가치를 높이 평가할 수 있는 성어였다. 아울러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 역시 자신의 삶에 조그마한 의미라도 부여한다면 마음가짐을 어떠한 자세로 지녀야 하는지를 되새기는 계기로 삼을 수 있을 것입니다.
공자는 일생동안 무려 3천명의 제자를 두었는데 그 중 안회를 가장 총애했다. 안회는 수제자 중의 수제자였던 셈이다. 그는 하나를 들으면 열을 깨우쳤으며(聞一知十), 워낙 학문을 좋아해 나이 29세에 벌써 백발(白髮)이 되었다고 한다. 또한 덕행(德行)이 뛰어나 스승인 공자 자신도 때로는 그로부터 배울 정도였다고 한다. 그러나 조물주는 그에게 뛰어난 재능과 함께 가난을 안겨 주었다.
그는 찢어지게 가난해 끼니 거르기를 밥먹듯 했으며 평생 지게미 조차 배불리 먹어본 적이 없을 정도였다. 그 뿐인가. 나이 서른 하나에 요절하고 말았으니 공자가 오죽했으면 그의 죽음을 두고 ´하늘 탓´이라고 통탄했을까. 그러나 그는 가난을 운명인양 받아들이고 늘 낙천적으로 살았으며 덕(德) 닦기를 게을리 하지 않았다. 그래서 공자는 그를 찬탄해마지 않았다.
˝장하구나 안회여! 단사표음(簞食瓢飮)과 누추한 뒷골목에 살면서도 불평이 없구나. 그럼에도 성인(聖人)의 도를 추구하기 여념이 없으니 이 얼마나 장한가.˝




 
비즈폼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1588-8443. 오전9:30~12:30, 오후13:30~17:30 전화상담예약 원격지원요청
전화전 클릭
클린사이트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