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글 나누기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이판사판(理判事判)

이판사판(理判事判)

[字解]
理(다스릴 이)
判(쪼갤 판)
事(일 사)
判(쪼갤 판)

[意義]
˝막다른 궁지˝ 또는 ˝끝장˝을 뜻하는 말로 뽀족한 묘안이 없음을 비유한 말.

[解義]
한자말 이판(理判)과 사판(事判)이 붙어서 된 말이다.
그리고 이 이판과 사판은 불교 용어로서 조선시대에 생성된 말이다.
조선은 건국이념으로 억불숭유(抑佛崇儒)정책을 표방하였다.
이것은 고려 말에 불교의 폐해가 극(極)에 달했기 때문이며, 한편으로는 조선의 신흥 유학자 사대부 세력이 대거 참여했기 때문이기도 하다.
어쨌든 불교는 왕조의 교체와 함께 하루 아침에 탄압의 대상이 되었다.

그래서 천민계급으로 전락한 승려들 또한 활로를 모색(模索)해야 할 시점이 되었는데,
그 하나는 사찰(寺刹)을 존속(存續)시키는 것이었으며,
다른 하나는 불법(佛法)의 맥(脈)을 잇는 것이었다.

그래서 일부는 폐사(廢寺)를 막기 위해 기름이나 종이, 신발을 만드는 제반 잡역(雜役)에 종사하면서 사찰을 유지하였다
한편으로는 이와는 달리 속세를 피해 은둔(隱遁)하면서 참선(參禪)과 독경(讀經)으로 불법(佛法)을 이은 승려도 많았다.
이를 두고 전자(前者)를 사판승[事判僧:산림승(山林僧)], 후자(後者)를 이판승[理判僧:공부승(工夫僧)]이라 하였다.

자연히 양자간에는 특징(特徵)이 있게 되었다.
일부 사판승에는 교리(敎理)에 어두운 범승(凡僧)이 있었고, 이판승은 공부에만 치중함으로서 불교의 외형적 성장에는 그다지 큰 기여를 하지 못했다.
그러나 양자는 상호 보완의 관계에 있었다.
폐사를 막음으로서 사찰의 명맥(命脈)을 이은 것은 사판승의 공로이며, 부처님의 혜광(慧光)을 전하고 불법을 이은 것은 이판승의 공로였다.
결국 조선시대를 거쳐 지금의 현대 불교가 융성한 것도 이 두 부류의 승려들이 자신들의 소임을 다했기 때문에 가능했다.

그런데 이 이판사판의 뜻이 전이되어 부정적 의미로 쓰이게 된 데에는 시대적 상황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조선의 억불정책은 불교에 있어서 최악의 상태였다. 승려는 최하계층의 신분이었으며, 성(城)의 출입 자체가 금지되어 있었다.
자연히 당시에 승려가 된다는 것은 막다른 마지막 선택이었다.
그래서 이판(理判)이나 사판(事判)은 그 자체로 ˝끝장˝을 의미하는 말이 된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 뿐만 아니라 일제와 8.15광복 후의 건국초기에도 불교를 정치적으로 이용하면서 더욱 더 부정적 이미지로 몰아 갔다.
이 두 부류를 정치적으로 이용, 서로 분열 반목케 하여 이판사판의 면목을 그대로 대중(大衆)에게 심어 주었다.

그래서 지금도 아무 것도 모르는 대중은 뾰족한 대안(代案)이 없을 때 무의식적으로 이판사판(理判事判)이라는 말을 쓴다.

 
비즈폼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1588-8443. 오전9:30~12:30, 오후13:30~17:30 전화상담예약 원격지원요청
전화전 클릭
클린사이트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