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글 나누기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마부작침(磨斧作針)
마부작침(磨斧作針)

[字解]
磨(갈 마)
斧(도끼 부)
作(만들 작)
針(바늘 침)

[意義]
도끼를 갈아 바늘을 만든다는 말로, 아무리 어려운 일이라도 꾸준히 노력하면 이룰 수 있다는 뜻이다.

[出典]
남송(南宋) 때 축목(祝穆)이 지은 지리서 《방여승람(方與勝覽)》과 《당서(唐書)》 문예전(文藝傳)에 보이는 말이다.

[解義]
당(唐)나라 때 시선(詩仙)으로 불린 이백(李白)은 서역의 무역상이었던 아버지를 따라 어린 시절을 촉(蜀)에서 보냈다.
젊은 시절 도교(道敎)에 심취했던 이백은 유협(遊俠)의 무리들과 어울려 쓰촨성[泗川省] 각지의 산을 떠돌기도 하였다.

이때 학문을 위해 상의산(象宜山)에 들어갔던 이백이 공부에 싫증이 나 산에서 내려와 돌아오는 길에 한 노파가 냇가에서 바위에 도끼를 갈고 있는 모습을 보게 되었다.
이상하게 생각한 이백이 물었다.
˝할머니, 지금 무엇을 하고 계신 것입니까?˝
˝바늘을 만들려고 한단다.˝

노파의 대답을 들은 이백이 기가 막혀서 ˝도끼로 바늘을 만든단 말씀입니까?˝ 하고 큰 소리로 웃자, 노파는 가만히 이백을 쳐다보며 꾸짖듯 말하였다.
˝얘야, 비웃을 일이 아니다. 중도에 그만두지만 않는다면 언젠가는 이 도끼로 바늘을 만들 수가 있단다.˝
이 말을 들은 이백은 크게 깨달은 바 있어 그 후로는 한눈 팔지 않고 글공부를 열심히 하였다고 한다.
그가 고금을 통하여 대시인으로 불리게 된 것은 이러한 경험이 계기가 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아무리 어려운 일이라도 끈기를 가지고 게속 노력하면 마침내 이룰 수 있다는 듯이다.

[同意語]
마철저이성침(磨鐵杵而成針)
마철저욕작침(磨鐵杵欲作針)
마철저(磨鐵杵:http://www.geumcho.com/Seoye/Work4/work4.htm)
철저성침(鐵杵成針)
마부위침(磨斧爲針).

[類似語]
우공이산(愚公移山:Link#1)
수적석천(水滴石穿:Link#2)
 
비즈폼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1588-8443. 오전9:30~12:30, 오후13:30~17:30 전화상담예약 원격지원요청
전화전 클릭
클린사이트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