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
|
|
|  | 득어망전 得魚忘筌 |  | |
|
득어망전 得魚忘筌
[字解]
得 얻을 득,
魚 고기 어,
忘 잊을 망,
筌 가리, 통발 전.
[意義]
물고기를 잡고 나면 통발을 잊어버린다는 뜻으로, 목적을 이루면 그 때까지 수단으로 삼았던 사물은 무용지물이 됨을 이르는 말.
[出典]
장자(莊子:link#1) - 외물편(外物篇).
[解義]
옛날 堯(요)임금은 許由(허유)에게 천하를 물려주려 했으나 허유는 달아나 받지 않았다. 殷(은)나라 湯王(탕왕)은 務光(무광)에게 나라를 주려고 했지만 무광은 화를 냈다.
紀他(기타)는 이 소식을 듣자 나라가 자기에게 돌아올까 겁이 나서 제자를 거느리고 관수가에 은거하고 말았다. 제후들은 3년 동안 사람을 보내어 기타(紀他)를 위로했다
장자(莊子) 외물편에 다음과 같은 유명한 대목이 나온다.
筌者所以在魚 (전자소이재어), 得魚而忘筌 (득어이망전);
蹄者所以在兎 (제자소이재토), 得兎而忘蹄 (득토이망제);
言者所以在意 (언자소이재의), 得意而忘言 (득의이망언).
吾安得夫忘言之人(오안득부망언지인), 而與之言哉 (이여지언재)!
전(筌 : 통발)은 물고기를 잡기 위한 것이다. 물고기를 잡으면 통발은 버려야 한다.
제(蹄 : 덫, 올가미)는 토끼를 잡기 위한 것이다. 토끼를 잡으면 올가미는 버려야 한다.
우리 인간의 말이라는 것은 뜻을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그 뜻을 잡으면 말은 버려야 한다.
말을 버릴 줄 아는 사람, ˝나는 언제 그런 사람과 더불어 말을 해볼 수 있을 것인가?˝
여기서 망전(忘筌), 망제(忘蹄), 망언(忘言)은 어느 것이나 시비와 선악 같은 것을 초월한 절대의 경지를 말하고 있다.
상대를 초월하여 이 세상의 만물은 한몸이라고 생각하는 절대적인 경지에 서면, 옳은 것도 없고 그른 것도 없으며, 선한 것도 악함도 없으며, 아름다운 것도 추한 것도 없다는 것이 장자의 주장인 것이다.
그러나 장자가 보는 그 당연한 일면을 보통 사람들은 인간의 기회주의적인 모순으로 보고 있는 것이다.
장자는 ´말을 잊은 사람´을 끌어내기 위해 통발과 덫을 잊는다는 말을 전제했다.
장자가 말하는 ´말을 잊은 사람´이란 말같은 것은 잊어버려 그에 얽매이지 않는 참된 뜻을 깨달은 사람을 가리킨다.
이렇게 결론을 다른 데로 몰고간 得魚忘筌(득어망전)을 글자 그대로 풀이해 보통 ´일단 목적을 달성하면 수단으로 이용하던 물건을 잊어버린다´는 뜻으로 쓰이고 있다(자료실에서 더 많은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유사어]
筌蹄(전제).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