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글 나누기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자포자기(自暴自棄)
자포자기(自暴自棄)

[字解]
自(스스로 자)
暴(사나울 포)
自(스스로 자)
棄(버릴 기)

[意義]
스스로 자기를 버린다는 뜻으로, 마음에 불만이 있어 행동을 되는 대로 마구 취하고 스스로 자신을 돌아보지 않음을 일컫는 말이다.

[出典]
孟子(맹자)의 離婁篇(이루편) 上(상).

[解義]
요즘에는 「에라 모르겠다. 될 대로 되라지」하는 마음의 상태를 가리키는 말로 쓰이지만 당초에는 격이 높은 말로 쓰였다. 이 말의 원래의 뜻을 「맹자」에 써 있는 대로 따라 읽어보자.

맹자(孟子:link #1)는 〈이루편(離婁篇)〉 상(上)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스스로를 해치는 자와는 더불어 진리를 말할 수 없고, 스스로를 버리는 자와는 더불어 진리를 행할 수 없다. 말하자면 예의(禮義)를 비방하는 것을 스스로를 해치는 것[自暴]이라 하고, 내 몸이 인(仁)에 살고 의(義)를 좇지 않는 것을 스스로를 버리는 것[自棄]이라 한다.
인은 사람의 편안한 집이고, 의는 사람의 바른 길이다. 편안한 집을 비워 두고 살지 않으며, 바른 길을 버리고 행하지 않으니, 슬프다.

自暴者 不可與有言也 (자포자 불가여유언야)
自棄者 不可與有爲也 (자기자 불가여유위야)
言非禮義 謂之自暴也 (언비에의 위지자포야)
吾身不能居仁由義 謂之自棄也(오신불능거인유의 위지자기야)
仁 人之安宅也 (인 인지안택야)
義 人之正路也 (의 인지정로야)
曠安宅而弗居 (광안택이불유)
舍正路而不由 (사정로이불유)
哀哉(애재).

자포는 예의를 헐뜯기만 하는 무리이고, 자기는 인의(仁義)에 따르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이들과는 어떤 말이나 행동을 같이 할 수 없다고 하였다.
다시 말해 이것은 인간의 도리를 망각한 자와는 상종을 말라는 경고이다.
본래 맹자가 인의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한 것으로, 철학적 성격을 띤 말이니 지금과는 그 의미가 다르다.

현재의 될 대로 되라는 식의 체념과는 그 뜻이 많이 달랐음을 알 수 있다.
「이루편 상」에는 이같은 맹자의 말만 나열되어 있을 뿐 이것이 언제 누구에게 한 말인지에 대한 설명은 없다.
맹자는 자포와 자기를 구별해서 쓴 것 같지만 요즘에는 자포자기라하여 좌절하거나 실의에 빠졌을 때 자기자신을 아무렇게나 해버리는 것을 뜻하는 말로 쓰이고 있는 것이다

[준말]
자포(自暴), 포기(暴棄), 자기(自棄).
 
비즈폼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1588-8443. 오전9:30~12:30, 오후13:30~17:30 전화상담예약 원격지원요청
전화전 클릭
클린사이트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