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글 나누기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문전작라( 門前雀羅 )
문전작라( 門前雀羅 )

[字解]
門(문 문)
前(앞 전)
雀(참새 작)
羅(그물 라).

[意義]
문 앞에 새그물을 친다는 뜻으로, 권세를 잃거나 빈천(貧賤)해지면 문 앞에 새그물을 쳐 놓을 수 있을 정도로 방문객의 발길이 끊어진다는 말이다.

[出典]
사기(史記) - 급정열전(汲鄭列傳).
백거이(白居易)의 우의시(寓意詩).

[解義]
전한 7대 황제인 무제(武帝) 때 급암(汲암)과 정당시(鄭當詩)라는 두 현신(賢臣)이 있었다. 그들은 한때 각기 구경(九卿:9개 부처의 각 으뜸 벼슬)의 지위에까지 오른 적도 있었지만 둘 다 개성이 강한 탓에 좌천, 면직, 재등용을 되풀이하다가 급암은 회양 태수(淮陽太守)를 끝으로 벼슬을 마쳤다.
이들이 각기 현직에 있을 때에는 방문객이 늘 문전성시를 이루었으나 면직되자 방문객의 발길이 뚝 끊어졌다고 한다.

이어 사마천(司馬遷)은《사기(史記)》〈급정열전(汲鄭列傳)〉에서 다음과 같이 덧붙여 쓰고 있다.
˝급암과 정당시 정도의 현인이라도 세력이 있으면 빈객(賓客)이 열 배로 늘어나지만 세력이 없으면 당장 모두 떨어져 나간다. 그러나 보통 사람의 경우는 더 말할 나위도 없다.˝
또 적공(翟公)의 경우는 이렇다. 적공이 정위(廷尉)가 되자 빈객이 문전성시를 이룰 정도로 붐볐다. 그러나 그가 면직되자 빈객은 금새 발길을 끊었다. 집 안팎이 어찌나 한산한지 문 앞에 새그물을 쳐 놓을 수 있을 정도[門外可設雀羅]였다.
얼마 후 적공은 다시 정위가 되었다. 빈객들이 몰려들자 적공은 대문에 이렇게 써 붙였다.

한 번 죽고 한 번 삶에 곧 사귐의 정을 알고[一死一生 卽知交情(일사일생 즉지교정)]
한 번 가난하고 한 번 부함에 곧 사귐의 태도를 알며[一貧一富 卽知交態(일빈일부 즉지교태)]
한 번 귀하고 한 번 천함에 곧 사귐의 정은 나타나네[一貴一賤 卽見交情(일귀일천 즉현교정)].

문전작라는 이와 같이 권력의 부침에 따라 변하는 인심을 나타내는 말로, 한국 속담에 ´정승집 개가 죽으면 문상객이 문앞을 막지만 정승이 죽으면 문상객이 끊긴다´는 말과 통한다.

[원말]
문외가설작라(門外可設雀羅).

[反意語]
문전성시(門前成市).

[參考]
무제(武帝)(http://kr.encycl.yahoo.com/print.html?id=65072)
급암(汲암)(http://kr.encycl.yahoo.com/print.html?id=28075)

 
비즈폼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1588-8443. 오전9:30~12:30, 오후13:30~17:30 전화상담예약 원격지원요청
전화전 클릭
클린사이트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