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글 나누기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타면자건 唾面自乾

*타면자건 唾面自乾*

[字解]
唾(침 타)
面(낯 면)
自(스스로 자)
乾(하늘 건)

[意義]
남이 내 얼굴에 침을 뱉으면 그것이 저절로 마를 때까지 기다린다는 뜻으로, 처세에는 인내가 필요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出典]
十八史略.

[解義]
이 말은 남이 나의 낯에다 침을 뱉았을 때 이를 바로 닦으면 그 사람의 뜻을 거스르는 것이 되므로 저절로 마를 때까지 기다린다는 뜻이다.

당(唐)나라의 측천무후(則天武后)는 중국사상 유일한 여제(女帝)로서 약 15년간 전국을 지배하였다.
측천무후는 고종이 죽자, 자신의 아들 중종(中宗)과 예종(睿宗)을 차례로 즉위시키고 정권을 독차지하여 독재 권력을 휘둘렀다.
자신의 권세를 유지하기 위하여 탄압책을 쓰는 한편, 유능한 신흥 관리를 많이 등용하고 명신을 적절히 등용하여 정치를 담당시켰기 때문에 천하는 그런 대로 태평했다.

그 무렵, 측천무후의 유능한 신하 중에 누사덕(婁師德)이란 사람이 있었다. 그는 성품이 온후하고 관인(寬仁)하여, 아무리 무례한 일을 당해도 그 자세에 흔들림이 없이 항상 똑같았다.
하루는 그의 아우가 대주자사(代州刺史)로 임명되어 부임하려고 할 때였다.
그는 동생을 불러 ˝우리 형제가 다같이 출세하고, 황제의 총애를 받는 것은 좋은 일이나, 그만큼 남의 시샘도 크다고 보면 틀림이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그러한 시샘을 면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처신하면 된다고 생각하느냐?˝라고 물었다.
그러자 동생이 ˝비록 남이 내 얼굴에 침을 뱉더라도 결코 상관하거나 화내지 않고 잠자코 닦겠습니다. 만사를 이런 식으로 사람을 응대하여 결코 형님에게 걱정이나 누를 끼치지 않도록 하겠습니다.˝라고 대답했다.

동생의 대답을 듣고 누사덕은 다음과 같이 훈계헸다.
˝내가 염려하는 바가 바로 그것이다. 만약 어떤 사람이 네게 침을 뱉는다면 그것은 네게 뭔가 크게 화가 났기 때문일 것이다.
그런데 네가 바로 그 자리에서 침을 닦아버린다면 상대의 기분을 거스르게 되어 그는 틀림없이 더 크게 화를 내게 될 것이다.
침 같은 것은 닦지 않아도 그냥 두면 자연히 마르게 되니, 그런 때는 웃으며 그냥 침을 받아 두는 것이 제일이니라.˝

여기서 타면자건(唾面自乾)이란 말이 나왔으며, 이는 처세에 인내가 얼마나 중요한 미덕인가를 말해주고 있다.

중국 청말 이종오가 발표한 후흑학(厚黑學)이란 게 있다.

얼굴이 두꺼워(厚顔) 부끄러움을 모르는 것(無恥)과 뱃속이 검어서(黑心) 뻔뻔스럽게 행동하는 것이 성공의 첩경이라고 가르친 학설이다.

얼굴이 두꺼운 사람의 대표로 유비(劉備)를 드는데, 여포, 조조, 원소, 유표, 손권 등에게 부끄러움을 모르고 이러저리 붙어 다니다가 결국은 후안무치로 성공하여 촉나라를 세웠다는 것이다.
그러나 유비는 인내는 하면서도 비굴하거나 무기력하지 않았고,항상 활로를 찾아 나섰다.
큰 목표를 향하여 자기를 숙이며 마음 속에는 불타는 정열과 패기가 있었다.

후안무치(厚顔無恥)(196번 참고)

厚顔이란 두꺼운 낯가죽을 뜻하는데, 여기에 무치(無恥)를 더하여 후안무치(厚顔無恥)라는 말로 자주 쓰인다. 이는 낯가죽이 두꺼워서 부끄러운 줄을 모르는 사람을 가리킨다

*후흑의 도(厚黑의 道)(http://giant.x-y.net/sagi/etc/black_face_1.htm)

[參考]
十八史略(http://kr.encycl.yahoo.com/print.html?id=103508)
측천무후(http://kr.encycl.yahoo.com/print.html?id=149160)
고종(http://kr.encycl.yahoo.com/print.html?id=14556).


 
비즈폼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1588-8443. 오전9:30~12:30, 오후13:30~17:30 전화상담예약 원격지원요청
전화전 클릭
클린사이트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