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
|
|
|  | 호사토비(狐死兎悲)* |  | |
| *호사토비(狐死兎悲)*
[字解]
狐(여우 호)
死(죽을 사)
兎(토끼 토)
悲(슬플 비).
[意義]
「여우가 죽으니 토끼가 슬퍼하다」라는 뜻으로 「마음속으로는 좋아하면서 겉으로는 슬픈 척 함」을 비유한 말이다.
[出典]
송사(宋史) 권261 이전전(李全傳).
[解義]
남송(南宋) 때, 여진족들이 세운 금(金)나라가 송나라의 북방을 침입하여 넓은 땅을 차지하자, 양안아(楊安兒)와 이전(李全)은 각각 의병을 일으켜 금나라에 대항하였다.
양안아가 전투 중에 죽자, 그의 누이동생 양묘진(楊妙眞)이 계속하여 군대를 이끌며 금나라에 항전하였으며, 후에는 이전의 부대가 여기에 연합하였다.
양묘진과 이전은 하나의 부대로 연합한 후, 부부(夫婦)가 되었다. 이전은 남송(南宋)의 군대에 소속되어 초주(楚州)지역에서 금나라 군(軍)과 계속 싸웠다.
얼마 후, 남송의 태위(太尉) 하전(夏全)이 초주를 공격하였다. 양묘진은, 하전도 남송에 귀순한 의병들의 우두머리인 것을 알고, 사람을 보내 그에게 말을 전하였다.
˝여우가 죽으면 토끼가 슬퍼서 울게되는데, 이는 필시 그들이 같은 무리이기 때문일 것입니다. 우리들은 모두 남송에 귀순한 의병들로서, 만약 그대가 이전의 군대를 공격하여 그들을 죽인다면, 그대 혼자의 힘으로 자신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을 것 같습니까? 장군께서는 다시 한번 생각해보아 주시기 바랍니다[狐死兎泣, 李氏滅, 夏氏寧獨存. 願將軍垂盼].˝
하전은 양묘진의 말에 군대를 철수하여 돌아갔다.
* 泣(울 읍) 滅(멸망할 멸) 寧(편안할 녕{영}) 垂(드리울 수) 盼(눈 예쁠 반)
[同意語]
狐死兎泣(호사토읍).
狐兎之悲(호토지비).
兎死狐悲(토사호비).
[參考]
宋史(송사)(http://kr.encycl.yahoo.com/print.html?id=95511)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