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
|
|
|  | 이도살삼사 二桃殺三士 |  | |
| 이도살삼사 二桃殺三士
[字解]
二 : 두 이
桃 : 복숭아 도
殺 : 죽일 살
三 : 석 삼
士 : 무사 사.
[意義]
복숭아 두 개로 무사 세 명을 죽인다는 뜻으로, 교묘한 책략으로 상대를 자멸하게 하는 것을 비유한 말이다.
[出典]
《안자춘추(晏子春秋)》 〈간(諫)〉 하(下)의 이야기이다.
[解義]
제(齊)나라 경공(景公)에게는 신변을 호위하는 힘이 센 장수로 공손접(公孫接), 고야자(古冶子), 전개강(田開疆) 세 사람이 있었다.
그들은 힘과 공을 빌어, 법과 위계질서를 무시했다. 한번은 재상인 안영이 이 세 사람 앞을 종종걸음으로 지나갔다. 그들에게 경의를 표한 것이엇다. 그런데도 그들은 아무도 일어나서 답례를 하지 않았다.
참다 못한 재상 안영이 이들을 제거하기 위한 계획을 짰다.
어느 날 안영이 만찬석상에서 복숭아 두 개를 내어 와 경공에게 바치며, “이 복숭아를 가장 공로가 큰 신하에게 상으로 주십시오.”라고 하였다.
먼저 공손접이 나서서, “사냥 때, 폐하께 달려드는 호랑이를 내가 맨손으로 잡았다.” 하고는 복숭아를 하나 가졌다.
전개강 역시 “나는 매복을 사용하여 두 번이나 적을 무찔렀다.” 하고는 남은 복숭아를 가졌다.
당황한 고야자가, “폐하를 모시고 황허강을 건널 때, 폐하 수레의 왼쪽 말이 중류로 도망쳤다. 내가 강으로 들어가 백걸음 동안 흐름을 거스른 다음 흐름을 좇아 90리를 가 말을 죽였다. 그런 다음 왼손으로 말의 엉덩이를 붙잡고 오른손으로 말의 목을 들어 언덕으로 올라왔다.” 하고 큰소리로 말했다.
공손접과 전개강이 이 말을 듣고, “우리의 공훈은 그대의 발끝에도 미치지 못한다. 그런데도 복숭아를 탐한 것은 우리의 탐욕 때문이다.” 하고는 스스로 목을 베었다.
고야자도 “두 사람이 죽었는데 나 혼자 사는 것은 인(仁)이 아니다. 사람이 명성을 자랑하고 있는 것을 듣고 부끄럽게 여기는 것은 의롭지 못하다.” 하고 칼을 뽑아 자기의 목을 찔렀다.
이 고사가 세상에 알려지게 된 것은 제갈 량(諸葛亮)의 《양보음(梁甫吟)》이라는 고체시(古體詩) 때문이다. 그는 이렇게 노래하였다. “하루아침에 참언을 입어[一朝被讒言], 두 복숭아가 세 장사를 죽였다[二桃殺三士].”
이백 또한 동명의 시를 지어 이 고사를 더욱 유명하게 하였다. “제나라의 재상은 힘이 남산을 갈아엎는 세 명의 장사를 죽이는데, 두 개의 복숭아를 사용하였다[力排南山三壯士 齊相殺之費二桃].”
안영의 생각은 현대인의 사고방식과 유사하다. 자신을 따르지 않는 자, 집단의 질서를 흐트리는자, 장차 자신을 위해할 염려가 있는 자 등에게는 인정을 두지 않는다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이것은 춘추전국시대나 현대, 둘 다 살아 남기 위한 선택을 강요한다는 점에서 기인한다.
.......................................................................................................................
[복숭아 때문에 싸워 죽다니 우매한 자들이다]
二桃殺三士(이도살삼사).
복숭아 두개로 세 사람을 죽였다는 말로 안자춘추(晏子春秋)에 나온다.
제갈공명은 안자가 복숭아 두개로 세 사람의 역신을 죽게 한 지혜를 보고 감탄하여 그를 흠모했다 한다.
춘추시대 말, 제나라 경공(景公)때 공손접(公孫接), 전개강(田開强), 고야자(古冶子) 등 세 신하가 있었다.
이들은 모두 나라에 공을 세워 높은 벼슬에 있는 용사로 이들을 삼걸(三傑)이라 불렀는데 다같이 힘이 세고 용맹스러워서 천하에 그들을 당할 자가 없었다.
이들은 결의형제를 하여 호형호제하면서 그 세도가 경공도 어찌할 수 없을 지경에 이르렀고, 더욱이 전개강은 인척인 진무우와 도모하여 임금의 자리를 노리며 때를 기다라는 중이었다.
제경공도 그들이 반란을 일으킬까 은근히 겁을 내기에 이르렀고 안영도 기회를 틈타 이들을 숙청하려 하고 있었다.
안영은 경공에게 아뢰어 복숭아로 그들을 제거할 계획을 꾸몄다.
십여년 전 어떤 사람이 경공에게 금도(金桃)라는 복숭아 씨를 바쳤는데 십년동안 무럭무럭 자라다가 금년에서야 열매가 맺혔는데 보통 복숭아와는 달리 주발만하게 영글어 먹음직스럽고 탐스러웠다.
안영은 세 사람에게 금도 두 개만 보내면서 이렇게 물어 보도록 경공에게 건의했다.
「세 사람은 각자 그 공을 헤아린 후에 복숭아를 먹도록 하라.」
이에 공손접이 하늘을 우러러 탄식하며,
「안자는 지혜로운 사람이로다. 무릇 임금으로 하여금 우리의 공을 계산토록 했으니, 복숭아를 못 먹게 되는 자는 바로 용기가 없다는 뜻이 된다. 복숭아는 둘이다. 그러니 어찌 공을 따져 보지 않고 복숭아를 먹을 수 있으랴.
나 접(接)은 지난날 전하를 모시고 사냥할 때 맹호가 나타나 위험한 지경에 이른 주군을 위해 맨손으로 호랑이를 때려 잡은 사람이다. 나 같은 공이라면 복숭아를 먹어도 된다.」하고는 복숭아를 집어들고 일어섰다.
다음에는 고야자가「 내 일찍이 임금을 모시고 하수를 건널 때 큰 자라가 나타나 전하의 애마를 물어갔을 때 그 자라의 목을 베고 애마를 다시 찾아온 것은 바로 이 사람의 공이었다.」 하고는 복숭아를 집고 일어섰다.
이에 전개강이 「나는 나는 전하를 모시고 서나라를 쳐서 그 장수를 목베고 무려 오백의 포로를 사로잡았다. 내 공로가 어찌 호랑이나 자라 한마리 잡은 공만 못한가? 그대 두 사람은 어찌하여 복숭아를 내놓지 않는가? 」 하면서 칼을 빼어들고 일어섰다.
그러자 공손접과 전개강이 「우리의 용기는 그대만 못하다. 공 또한 그대에 미치지 못한다. 그러면서도 죽지 않는다면 이야말로 용기가 없는 것이다.」하고는 모두 복숭아를 내놓은 채 목을 끊고 죽어 버렸다.
이에 고야자도 「두 사람이 죽었는데 나 혼자 살아 있는 것은 어질지 못하다. 남에게 말로서 부끄러움을 주고 자랑하였으니 이는 의가 아니며 용기 있는 것이 아니다.」 하고는 역시 복숭아를 내놓고 목을 끊고 죽어 버렸다.
이를 지켜 본 사자(使者)가 모두 죽었다고 보고하자, 경공이 염을 하고 장례를 치러 주었다고 한다.
현대인의 사고로 볼 때 믿기지 않는 얘기다. 아무리 용기와 의를 중시하던 시대였다 하더라도 복숭아 하나 못먹는 것이 용기가 없다하여 안하무인으로 세도를 부리고 역심까지 품은 자들이 싱겁게 자살한다는 것은 아무래도 지나치다.
복숭아를 이용하여 역신들을 제거한 안영의 지혜를 후세 사람들은 높게 평가하여 회자하고 있으나, 그보다 이를 알고도 욕심을 부리다 서로 죽게 만든 그들 자신의 무지하고 몽매함을 탓해야 하지 않을가? 실로 어리석은 자들이다.
출처:사마천의 사기세계.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