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글 나누기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해어화 解語花
해어화 解語花

[字解]
解(풀 해)
語(말씀 어)
花(꽃 화)

[意義]
말을 이해하는 꽃이란 뜻으로, 미인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이다.

[出典]
개원천보유사(開元天寶遺事).

[解義]
당나라 현종(玄宗)이 비빈(妃嬪)과 궁녀들을 거느리고 연꽃을 구경하다가 양귀비(楊貴妃)를 가리켜 ˝연꽃의 아름다움도 ´말을 이해하는 이 꽃´에는 미치지 못하리라˝고 말했다는 고사에서 온 말로, ´해어지화(解語之花)´라고도 한다.

중국 오대(五代)의 왕인유(王仁裕)가 엮은 《개원천보유사(開元天寶遺事)》에 다음의 글이 실려 있다.
명황(明皇) 가을 8월에 태액지(太液池)에 천 송이의 흰 연꽃이 피었다.
그 중 몇 가지에는 꽃이 무성하게 피었다.
황제는 양귀비와 더불어 잔치하고 감상했다.
좌우가 감탄하고 부러워했다.
오래도록 감상하다가 황제가 양귀비를 가리키며 좌우에게 일러 말했다.
˝내 말을 이해하는 꽃과 견줄 만하도다[爭如我解語花].˝
여기서 명황은 당나라의 현종을 가리키는 말이고, 태액지는 장안성(長安城)의 동북간에 있는 성에 인접하여 만든 정원으로 대명궁내(大明宮內)에 있는 연못이다.
이 태액지에 피어 있는 연꽃의 아름다움에 취해 모두들 넋을 잃고 바라보자, 현종이 ˝연꽃의 아름다움도 말을 알아듣는 이 꽃(양귀비)에는 비할 바가 못 된다˝고 하여 양귀비에 대한 지극한 사랑을 표현했던 것이다.
양귀비는 촉주(蜀州) 사호(司戶)였던 양현담(楊玄啖)의 딸로, 어렸을 때의 이름은 옥환(玉環)이었다.
일찍 부모를 여읜 그녀는 숙부 밑에서 자랐다.
원래 양귀비는 현종의 18번째 아들인 수왕(壽王)의 비(妃)였으나 현종의 눈에 띄어 그녀의 나이 27세 때 귀비(貴妃)로 책봉되었다.
그후 현종의 총애를 받아 그 일족이 모두 높은 벼슬에 오르는 등 영화를 누렸으나, 안녹산(安祿山)의 난이 일어나 피난가던 도중 길가의 불당에서 목매어 죽임을 당하였다.

사실 玄宗은 할머니 측천무후(則天武后)에 의해 피폐해질대로 피폐해진 唐나라를 다시 일으켜 세워 개원(開元)의 太平聖代(태평성대)를 이루었던 현명한 군주였다.
그러나 後에 楊貴妃를 알고부터 그만 政事(정사)에는 관심을 보이지 않게 되었다.그 결과 안녹산(安祿山)의 난을 당하여 楊貴妃마저 목매어 죽이고 만다.
그러고도 그녀를 잊지 못해 자나 깨나 그리는 마음은 백낙천(白樂天)의 장한가(長恨歌)에도 잘 나타나 있다.
대당제국도 차츰 기울기 시작해 마침내 亡하고 만다.
그러고 보면 解語花는 망국화(亡國花)이기도 했던 셈이다.


[개원천보유사 開元天寶遺事]
중국 성당(盛唐)의 영화를 전하는 유문(遺聞)을 모은 책.
오대(五代)의 한림학사 등을 역임한 왕인유(王仁裕:880∼956)가 후당(後唐) 장종(莊宗) 때에 진주절도판관(秦州節度判官)이 되어 시안[長安]에 있을 무렵, 민간에 전해져 오던 고사(故事) 159조(條)를 모아 이 책을 만들었다고 한다.
그러나 남송(南宋)의 홍매(洪邁)는 이 책이 왕인유의 이름만 얹어 만들어진 것이라고 주장했다.
사실(史實)을 전한다기보다 현종시대에 대한 동경에서 나온 풍문과 설화로서 음미할 만한 글이 많다.


[장한가 長恨歌]
중국 당대의 시인 백거이가 젊은 시절에 지은 서사적인 장가.
제재는 현종(玄宗) 황제와 양귀비(楊貴妃)의 비련(悲戀)에 관한 것이며, 4장으로 되었다.
제l장은, 권력의 정상에 있는 황제와 절세가인 양귀비의 만남과, 양귀비에게 쏟는 현종황제의 지극한 애정 등을 노래하였다.
제2장에서는, 안녹산(安祿山)의 난으로 몽진하는 길에, 양귀비를 어쩌다 죽게 한 뉘우침과 외로움으로 가슴이 찢어지는 황제의 모습을 그렸다.
제3장은, 환도 후 양귀비의 생각만으로 지새는 황제를 묘사한다.
제4장에서는, 도사의 환술(幻術)로 양귀비의 영혼을 찾아, 미래에서의 사랑의 맹세를 확인하게 되었으나, 천상(天上)과 인계(人界)의 단절 때문에 살아 있는 한 되씹어야 할 뼈저린 한탄이 길게 여운을 끈다.

이 작품에서는 변화무쌍한 서사(敍事)의 사이사이로 사랑의 기쁨, 외로움, 괴로움 등의 서정(敍情)이 섬광처럼 번쩍이며, 외길 사랑으로 탄식만 해야 하는 현종이 새로이 창조되어 인간으로서의 사랑의 비중을 역력히 상징한다.

노래의 형식도 칠언(七言)이어서 유창하고 아름다운 가락이 감겨들며, 행마다 리듬이 박동하고 때로는 각운(脚韻)을 바꾸어 가면서 장장 120행에 걸쳐 선율이 흐른다.

´동자해음장한곡(童子解吟長恨曲)´이라는 말이 있듯 무수한 사람들이 이를 애창하였으며, 시가와 소설과 희곡으로 취급되어 중국 근세문학사상 무한한 제재를 제공하였다.
특히 《장한가전(傳)》은 이 시의 내용을 이야기체로 바꾸어 보라는 백거이의 권유로 진홍(陳鴻)이 지은 전기(傳奇)소설이며, 양귀비의 입궐에서부터, 그녀가 죽은 후 현종의 명을 받은 방사(方士)가 그녀의 영혼을 만날 때까지를 《장한가》 그대로 답습하였다.

[출처]두산세계 대백과.
 
비즈폼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1588-8443. 오전9:30~12:30, 오후13:30~17:30 전화상담예약 원격지원요청
전화전 클릭
클린사이트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