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
|
|
|  | 涸轍鮒魚(학철부어) |  | |
|
[고사성어] 涸轍鮒魚(학철부어)
[字解]
涸(물잦을 학)
轍(바퀴자국 철)
鮒(붕어 부)
魚(물고기 어)
[意義]
수레바퀴 자국에 괸 물에 있는 붕어라는 뜻으로, 곤궁한 처지나 다급한 위기를 비유한 말이다.
[出典]
장자(莊子) 외물편(外物篇).
[解義]
장주(莊周:장자)는 집이 가난하였다.
그래서 감하후(監河侯)에게 곡식을 빌리러 갔다.
그러나 감하후가 말하기를, ˝장차 내 봉읍(封邑)에서 사금을 받아들이려 하는데, 그것을 받아서 삼백 금쯤 꾸어 주겠다˝ 하였다.
이에 장주가 화를 내며 안색을 고치고 말하였다.
내 어제 이리로 올 때, 도중에 누가 부르는 사람이 있었다.
돌아보니 수레바퀴 자국의 고인 물 속에 붕어가 한 마리 있었다.
내가 그놈을 보고, ˝붕어야, 왜 그러느냐˝ 하자, 붕어가 말하기를, ˝저는 동해의 파신(波臣)입니다. 어디서 한 말이나 한 되쯤 되는 물을 가져다가 저를 살려 주실 수 없겠습니까?˝ 하였다.
그래서 내가 말하기를, ˝좋다. 나는 지금 남쪽 오(吳)나라와 월(越)나라로 가서 시장강[西江]의 물을 터놓아 너를 맞아가게 하겠다. 그래도 되겠느냐?˝ 하였다.
그러자 붕어가 화를 내고 안색을 고치며 말하기를, ˝저는 제가 있어야 할 물을 잃어, 지금 있을 곳이 없습니다. 저는 단지 한 말이나 한 되쯤 되는 물만 있으면 살 수 있습니다. 그런데 당신이 그렇게 말씀하시니, 일찌감치 건어물(乾魚物) 가게로 가셔서 저를 찾으십시오˝라고 하였다.
수레바퀴 자국에 고인 물 속의 붕어와의 대화를 빌려, 부질없는 의문에 관심을 두지 말고 자기에게 주어진 환경에서 최선책을 마련하는 것이 인생의 제일의(第一義)임을 이야기하고 있다.
먼 물은 가까운 불을 끄지 못한다는 것과 같은 몹시 고단하고 옹색함에 대한 비유이다.
[同意語]
철부지급(轍鮒之急).
학철지부(涸轍之鮒).
[類似語]
우제지어(牛蹄之魚:소 발자국 속의 물고기).
[參考]
장자(莊子)(http://kr.encycl.yahoo.com/final.html?id=133212)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