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간담상조(肝膽相照)
의미:간과 쓸개를 서로 비춰줌. 서로의 가슴 속까지 이해하는 친함을 말한다. 당대(唐代) 유종원 (柳宗元)과 한유(韓愈)의 친한 사이에서 비롯되었다.
고사:중당(中唐) 문인 한유는 당송팔대가로서 좋은 친구를 많이 사귀고 있었다. 생애에 여러번 직면했던 곤경 속에서 참된 우정과 거짓 우정을 구별할 능력을 몸에 익혔다. 그는 관료 사 회의 혁신을 위한 정책 수행에 온힘을 혁신 관료들과 기울였으나 보수파에게 밀려서 두 번 째로 유주자사(柳州刺史)에 좌천되었고 그의 친구 유몽득(柳蒙得)도 변경인 파주자사(播州刺 史)로 좌천되었다. 유종원은 울면서 말했다.
˝파주란 변방지역으로 자네같은 사람이 살 곳이 못되네. 자네는 늙으신 어머니를 모시고 있는데 이 사실을 어떻게 모친께 말씀드릴 수 있겠 는가? 차라리 자네 대신 내가 파주로 가겠다고 지원하겠네.˝
한유는 친구의 우정에 깊이 감 동되어 훗날 ˝유자후묘지명(柳子厚墓誌銘)˝에 유종원을 위해 다음과 같은 글을 썼다.
˝아! 사람이란 어려움을 당했을 때 진정한 절의를 볼 수 있는 것이다. 평상시에는 서로 그리 워하고 즐거워하며 사양하면서 간이나 쓸개도 드러내 보이고(肝膽相照) 하늘을 가리키며 눈 물을 흘리면서 배반하지 않겠다고 맹세하지만 일단 이해관계가 생기면 언제 그랬냐는 듯 거 들떠 보지도 않으려 한다. 함정에 빠진 사람을 구해주기 보다 도리어 함정에 밀어넣고 돌을 던지기까지 하는 사람이 이 세상에는 많다.˝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