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글 나누기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형제간 우애를 나타내는 고사성어
1. 骨肉之親(골육지친) : 부모·자식·형제·자매 등의 가까운 혈족
2. 君子三樂(군자삼락) : 군자의 세 가지 낙. 첫째는 부모가 다 살아 계시고 형제가 무고한 것, 둘째는 하늘과 사람에게 부끄러워할 것이 없는 것, 셋째는 천하의 영재를 얻어서 교육하는 것
3. 孟子三樂(맹자삼락) : 부모형제의 무고함과 양심적 생활과 천하의 영재를 모아놓고 한번 가르쳐 보는 것. 군자삼락이라고도 함
4. 難得者兄弟(난득자형제) : 형제는 인력으로 얻어지는 것이 아니므로 서로 의가 좋아야 한다
5. 桃園結義(도원결의) : 중국 촉(蜀)나라의 유비·관우·장비가 복숭아 동산에서 의형제를 맺었다는 고사(故事)에서 유래되어 `의형제를 맺음´을 뜻함
6. 同氣一身(동기일신) : 형제 자매는 한 몸과 같음
7. 同氣之親(동기지친) : 형제간의 친애
8. 無媒獨身(무매독신) : 형제 자매가 없는 외로운 몸
9. 伯仲之間(백중지간) : 형제는 비슷하고 닮았기에 비교평가하여 우열을 가리기 힘듬. 서로 비슷하여 낫고 못함이 없는 상태
10. 手足之愛(수족지애) : 형제간의 우애
11. 兩鳳齊飛(양봉제비) : 두 마리의 봉황새가 나란히 나아간다는 뜻으로 형제가 함께 출세하여 영달을 누림
12. 如足如手(여족여수) : 형제는 몸에서 떼어 놓을 수 없는 팔다리와 같다는 말
13. 義兄宜弟(의형의제) : 형제간에 우애가 좋음
14. 折箭之訓(절전지훈) : 가는 화살도 여러개가 모이면 꺽기가 힘들 듯 여러 형제나 동료가 협력하면 어떤 어려움도 극복할 수 있다
15. 天顯之親(천현지친) : 부자형제간의 친근
16. 割半之痛(할반지통) : 몸의 반쪽을 베어 내는 고통, 형제 자매가 죽은 슬픔
17. 兄友弟恭(형우제공) : 형제가 서로 우애를 다함
18. 結義兄弟(결의형제) : 결의하여 형제의 의를 맺음 또는, 그 형제
19. 煮豆燃豆 (자두연두기) : 콩을 삶는데 콩깓지를 뗀다는 말로 형제끼리 서로 다투고 싸우며 죽이려 하는 것을 뜻함(조식의 七步成詩에 나옴)
20. 蕭臧之患(소장지환) : 한 집안에서 일어나는 형제간의 싸움
21. 尺布斗粟之譏(척포두속지기) : 형제간의 불화를 비방하고 나무람

출처 : 유림학당 고사성어교실
 
비즈폼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1588-8443. 오전9:30~12:30, 오후13:30~17:30 전화상담예약 원격지원요청
전화전 클릭
클린사이트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