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글 나누기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暖衣飽食(난의포식)

[고사성어] 暖衣飽食(난의포식)

[字解]
暖(따뜻할 난)
衣(옷 의)
飽(배부를 포)
食(먹을 식)

[意義]
따뜻이 입고 배불리 먹음. 생활에 부자유스러움이 없음을 뜻함.

[出典]
맹자(孟子)-등문공편(騰文公篇)

[解義]
맹자(孟子)가 60세가 지나 등(騰)나라의 문공(文公)에게 초대되어 갔을 때, 주(周)나라처럼 정전법(井田法)을 실시하여 등나라를 이상적인 사회로 만들도록 설득하였다.

이때 묵자(墨子)의 영향을 받은 중농주의자인 허행(許行)이 송(宋)나라로부터 등나라에 와서, 문공으로부터 살 집과 전토(田土)를 받고 자기가 짠 거친 옷을 입고 자기가 경작하여 지은 양식을 먹고 사는 주의를 실천하고 있었다.

유교의 생활방식을 버리고 허행과 같은 생활을 시작한 진상(陳相)이라는 사람이 맹자에게, “등나라 임금도 백성들과 마찬가지로 손수 농사를 지어서 먹어야 하지 않느냐”고 하였다.
맹자는 허행이 사용하는 농기구와 질그릇이 자기가 지은 농산물과 물물교환한 것이라는 사실을 확인한 다음, ‘인간의 생활이란 분업을 하는 것이지 원시적 자급자족이란 불가능하다’는 것을 말하고, ‘허행도 농기구나 그릇 등을 물물교환하여 쓰고 있지 않느냐.’고 깨우쳐 주면서, 우(禹)임금 같은 분은 8년 동안 아홉 개의 큰 강을 막아 다스리느라고 세 차례나 자기의 집 문앞을 지나면서도 못 들어갔다´는 것을 예로 들었다.

그리하여 후직(后稷:舜임금 때 농사 일을 관장하던 관직)을 시켜 백성들에게 농사짓는 일을 가르치게 하였다.
이리하여 오곡이 익어 백성들이 잘 살게 되었다.
“사람에게 도(道)가 있으니 배불리 먹고 따뜻하게 입고 편안하게 살지라도 가르침이 없으면 금수에 가까워지게 된다[人之有道也 飽食煖衣逸居 而無敎 則近於禽獸(인지유도야 포식난의일거 이무교 즉근어금수)]. 성인이 이것을 근심하여 설(契)로 하여금 사도(司徒)로 삼아 인륜으로써 가르치게 하니[聖人有憂之 使契爲司徒 敎以人倫(성인유우지 사설위사도 교이인륜)], 부자 사이에는 친함이 있고, 군신 사이에는 의가 있고, 부부 사이에는 구별이 있고, 연장자와 연소자 사이에는 차례가 있고, 벗 사이에는 믿음이 있다(父子有親 君臣有義 夫婦有別 長幼有序 朋友有信:부자유친 군신유의 부부유별 장유유서 붕우유신).˝
여기서 ‘난의포식’이 유래되었다.

[同意語]
飽食暖衣(포식난의)

[參考]
정전법(http://kr.encycl.yahoo.com/print.html?id=136820)
묵자(http://kr.encycl.yahoo.com/print.html?id=65370)

 
비즈폼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1588-8443. 오전9:30~12:30, 오후13:30~17:30 전화상담예약 원격지원요청
전화전 클릭
클린사이트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