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글 나누기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頑石點頭(완석점두)

[고사성어] 頑石點頭(완석점두)


[字解]
頑(완고할 완)
石(돌 석)
點(점찍을 점)
頭(머리 두)

[意義]
감지(感知) 못하는 돌이라도 감명을 받아 머리를 끄떡인다는 말로 감화(感化)를 깊이 받았을 때 쓰는 말이다.

[出典]
송서(宋書)-이만전(夷蠻傳)

[解義]
중국 晉나라때 유명한 스님이 있었는데 그를 도생법사(道生法師)라고 불렀다.
그는 어려서 法汰스님을 따라 출가하여 불도를 닦아 불경을 암송하는 처지에 이르렀다.
그는 벌써 15세의 어린 나이에 불경을 강좌(講座)하는 경지에까지 이르렀다.
그후 그는 長安으로 가서 라집(羅什)에게서 수업을 받고 여러종류의 佛書를 내었다.

그는 불경에 대해서 아주 심오한 깨침이 있어 때때로 새로운 경지를 발견, 배워온 구파스님의 이론을 배척하고 남으로 내려가 소주(蘇州) 호구산(虎邱山)으로 들어갔다.
道生法師는 호구산에 入山하니 다만 自己 혼자뿐으로 산위의 돌 바위만을 상대로 해서 불법을 강론(講論)하였다.

그는 늘 자기가 주장하는 바의 정묘(精妙)한 佛法을 講論하고 앞에 있는 돌바위에게 묻기를 ˝내가 말한 佛法이 合理的이냐?˝하고 말하니 모든 돌바위가 듣고서 함께 머리를 끄떡였다.

이 말이 곧 산아래로 퍼지자 열흘쯤 지나 각 지방의 스님들이 구름같이 虎邱山으로 모여 들었다.
그의 佛法은 너무도 설득력(說得力)이 있어서 돌바위 마저도 깊이 감화되어 움직였다.
지금도 虎邱山 위에 ´생공석(生公石)´이라고 해서 道生法師가 설법하던 곳이 전해지고 있다.

道生法師는 원가(元嘉)11年(AD 434)에 여사(廬山)에서 입적(入寂)하였다.
´生公´이란 道生法師의 경칭(敬稱)이다.

*夷(오랑캐 이), 蠻(오랑캐 만), 羅(그물 나), 什(세간집 집), 蘇(깨어날 소), 嘉(아름다울 가), 廬(오두막집 여), 寂(고요할 적), 敬(공경할 경), 稱(저울대 칭).

[參考:송서(宋書)]
중국 남조(南朝) 송(宋)의 정사(正史).
《제기(帝紀)》 10권, 《지(志)》나라 30권, 《열전(列傳)》 60권, 도합 100권. 487년 남제(南齊) 무제(武帝)의 칙명(勅命)에 따라 심약(沈約)이 488년에 편찬을 완성한 것으로 송나라 60년(420∼478)의 역사를 기록하였으며, 중국의 사서(史書) 중 가장 권위 있는 25정사에 들어간다. 이 사서는 이미 462년 송나라 효무제(孝武帝)의 칙명에 따라 서원(徐爰) 등이 편찬한 것에, 그 뒤의 역사 등을 보충하여 완성한 것이다.

글/ 成元慶-建國大學校 名譽敎授.
 
비즈폼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1588-8443. 오전9:30~12:30, 오후13:30~17:30 전화상담예약 원격지원요청
전화전 클릭
클린사이트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