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
|
|
|  | 각종 공의 재질과 크기 |  | |
| 탁구공
공은 셀룰로이드나 그와 유사한 플라스틱으로 만들며, 반사하지 않는 백색 또는 오렌지색이어야 하고, 무게는 2.5g, 지름은 3.8㎝이다.
골프공
골프공은 골프의 발전에 크게 영향을 미쳤다. 다양한 형태의 볼이 지니고 있는 특성과 그 실용성은 골프를 발전시키는 원동력이 되었으며 또 클럽의 디자인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18세기 초에는 ´페더리´가 우든미사일 대신 사용되었는데, 이 우든미사일은 너도밤나무 등 단단한 나무를 둥글게 깎아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가장 최초의 볼로 알려져 있다.
깃털을 채워 만든 페더리볼 역시 가격이 비싼 데다가 쉽게 망가졌던 까닭에 1848년에 구타페르카볼이 등장하면서 자취를 감춰 버렸다. 값비싼 페더리는 자연도태되고 나아가 형편이 넉넉하지 못한 사람들도 이 게임을 즐길 수 있는 여유를 갖게 되었다.
한편 볼은 골프규칙에 따라 지름 42.67㎜보다 작지 않고 45.93g보다 무겁지 않게 규격화됨으로써 크기와 무게에까지 세심한 배려가 기울여졌다. 19세기 중엽부터는 가터퍼처볼이 나왔다. 20세기에 접어들면서 현재 쓰이고 있는 볼의 전신인, 내부를 고무로 만든 하스켈볼이 등장하였다. 하스켈볼은 단단한 고무심(芯)을 인도고무의 가는 실로 감아서 고무피막(皮膜)으로 싼 것으로, 공이 나는 거리가 현저하게 늘어났다.
테니스공
최초에 사용한 공은 모발을 감아 가죽을 씌워 기운 것이었으나, 고무의 발견과 상품화에 따라 크게 진보하는 계기가 되었다. 처음의 고무공은 표피가 플란넬제(製)였으나 나중에 양모(羊毛) 나사를 거쳐 합성섬유의 혼방으로 되었고, 다시 내부에 가스압(壓)을 넣는 일도 고안되었으며, 오늘날에는 이 가스압을 없앤 것까지 고안되기에 이르렀다.
연식정구
공은 공기가 들어 있는 흰색의 고무제품으로, 지름 6.6㎝, 무게 30∼31g이어야 한다. 또한 1.5m의 높이에서 떨어뜨려 55∼80㎝ 바운드되는 것으로 한다. 라켓은 프레임과 자루는 목제로 하고 거트를 치며, 무게 285g 내외, 전체길이 69㎝가 표준이다
야구공
야구공을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코르크 심 위에 고무를 덧씌워 청회색과 흰색의 모사(毛絲)를 감아 다시 그 위에 면겹사를 감은 다음 여기에 적색사로 108번 바느질을 하여 흰색 말가죽이나 쇠가죽 두쪽을 잇는 공정이 이어진다. 이때 야구공의 솔기가 생기는데, 이 솔기가 공기와 마찰하여 투수의 공을 떨어지게도 하고 강속구가 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무게는 141.7∼148.8g(5∼5와 1/4온스), 둘레는 22.9∼23.5㎝(9∼9와 1/4온스)로 정해져 있다. 만드는 시간은 10여 분 걸린다. 연식용 공은 고무로 만든 것으로 L·B·A·C의 4종류가 있다.
핸드볼공
사용하는 공은 단색의 가죽으로 싸인 고무로 둥글게 만든 것으로, 표면이 번쩍거리거나 미끄러워서는 안된다. 2000년 제27회 시드니(Sydney) 올림픽에서는 색깔이 들어 있는 공이 사용되었다. 남자 일반부 및 16세 이상의 남자 청소년부 경기에 사용하는 공은 경기 시작 전에 측정하여 무게 425∼475g, 둘레 58∼60㎝이어야 하고, 여자일반부와 12∼16세 남자 청소년부 및 14세 이상의 여자 청소년부 경기에 사용되는 공은 무게 325∼400g, 둘레 54∼56㎝이다.
럭비공
공은 미식축구나 캐나디안풋볼에서 사용되는 것보다는 덜 뾰족한 타원형으로 4매의 가죽을 봉합하여 만든다. 길이 280∼300㎜, 세로둘레 760∼790㎜, 가로둘레 580∼620㎜, 무게 400∼440g에 가까운 것을 사용하고, 중학생용은 그보다 치수가 작아도 된다. 또한 흙이 잘 묻지 않고 손아귀에 쥐기 쉽게 특별히 가공하여도 무방하다.
배구공
볼은 둥글어야 하며 고무 또는 이와 유사한 재료로 만든 내피를 연한 가죽이나 인조가죽으로 싸서 만들어야 한다. 색상은 과거에는 흰색만 사용하였으나 요즈음은 동일한 밝은 색이나 다양한 색상이 조합된 것도 사용되고 있다. 공식 국제경기에서 사용되는 볼의 외피의 재질이나 색상 등은 FIVB(F暴 d暴 ration Inetrnationle de Volleyball:국제배구연맹)의 기준에 부합되어야 한다.
공의 둘레는 65∼67㎝이어야 하며, 무게는 260∼280g이어야 한다. 볼의 내부 기압은 0.30∼0.325㎏/㎝(294.3∼318.82mbar 또는 hpa)이어야 한다. 배구경기에 사용되는 모든 볼은 둘레·무게·기압·형태·색상 등이 같은 규격이어야 한다. FIVB에서 주최하는 국제경기에서는 3개의 볼이 사용된다. 이 경우 6명의 볼키퍼는 프리존의 각 코너에 1명씩, 그리고 주심과 부심뒤에 1명씩 있게 된다.
9인제인 경우 볼의 바깥둘레는 일반남녀 및 대학생 66(±1)cm, 남녀 고등학생 63(±1)cm, 남녀 중학생 63(±1)cm이고, 무게는 일반남녀 및 대학생 270(±10)g, 남녀 고등학생 250(±10)g, 남녀 중학생 200(±10)g이다.
당구공
당구 공은 예전에는 양질의 상아(象牙)로 만들었는데 현재는 대부분 플라스틱으로 만든다. 지름은 61.5 mm와 65.5 mm의 두 종류가 있고, 그 밖에 포켓용 공이 있다
볼링공
볼은 비금속성으로 둘레가 68.577 cm 이하, 중량은 7.257 kg 이하로 되어 있다
농구공
볼의 크기는 둘레 75∼78㎝, 무게 600∼650g인 것을 쓴다.
공 속의 공기는 180㎝의 높이에서 단단한 나무바닥에 떨어뜨렸을 때 튀어오른 공의 높이가 바닥에서 120∼140㎝이어야 한다. 공은 둥글고 오렌지색이어야 하며, 표면은 가죽이나 고무 또는 인조재질로 만들어져야 한다.
출처: empas지식거래소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