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글 나누기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국내 최초 우주 과학실험용 위성 26일 발사
국내 최초 우주 과학실험용 위성 26일 발사

우리나라 기술진이 주도적으로 개발한 우주과학실험용 소형위성인 과학기술위성 1호가 오는 26일 오후 3시 11분(한국시간) 북극해 인근 러시아 우주기지인 플레셰츠크에서 발사된다.
과학기술위성 1호는 지난 98년 10월 개발에 착수, 116억9천만원이 투입돼 제작완료된 것으로 사업의 총괄 관리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위성 본체 개발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인공위성센터가, 탑재체 개발은 KAIST.한국천문연구원.서울대.미국 버클리대 등 국내외 기관이 각각 담당했다.

고도 690km에서 운행될 과학기술위성 1호에는 국내 최초의 우주망원경인 원자외선분광기와 우주물리 실험장치, 데이터 수집장비, 초정밀 별 감지기 등이 탑재돼 우주 관측, 우주환경 측정, 과학실험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특히 KAIST 인공위성연구센터가 한국천문원, 미국 항공우주국(NASA), 버클리대학과 공동으로 제작한 원자외선분광기는 은하지도를 작성하는 것은 물론 우주의 생성과 진화에 대한 신비를 밝혀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과기부는 23일 ˝과학기술위성 1호는 국내에서 설계.제작.조립.시험과정을 거쳐 지난 2일 발사장으로 이송됐으며 현재 최종 상황점검을 마치고 발사를 기다리고 있다˝면서 ˝발사 약 7시간 후에 KAIST 인공위성센터내 지상국과 최초의 교신이 이뤄질 예정˝이라고 밝혔다.

인공위성연구센터는 홈페이지(http://satrec.kaist.ac.kr)를 통해 발사 이후의 상황을 공개할 예정이다.

과기부는 ˝위성을 주도적으로 개발함으로써 세계적 추세인 인공위성의 소형화에 필요한 핵심기술을 확보했으며 주탑재체인 원자외선분광기 개발을 통해 첨단 우주기술을 확보한 것은 물론 우주기술 선진국인 미국과의 협력기반도 마련하게 됐다˝고 평가했다.

과기부는 지난달 NASA와 원자외선분광기의 관측자료를 공동 활용하기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by http://cafe.daum.net/astronomical
 
비즈폼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1588-8443. 오전9:30~12:30, 오후13:30~17:30 전화상담예약 원격지원요청
전화전 클릭
클린사이트 선정